지피지기면 백전백승이라고 했다. 서울의 도심처럼 치과가 인접해 있는 경우 주변의 치과를 적대시 할 필요까지는 없지만 동시에 그들에 대해 무관심 해도 곤란하다. 원장은 인접치과의 특성을 분석하고 그들과 차별되거나 혹은 더 좋은 치과로 환자들에게 인식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경쟁환경 분석은 물리적 특성과 온라인상의 특성, 그리고 오프라인상의 특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물리적 특성 : 특정 범위내의 치과의 개수, 각 치과의 외형적 크기, 건물의 상태, 병원 표시, 주자장의 유무, 체어수, 평균적인 직원의 수, 원장의 수, 그리고 특히 강조하는 진료과목이 있다.
온라인 특성 : 홈페이지의 유무, 전체적인 홈페이지의 분위기, 콘텐츠의 충실성과 신뢰성, 홈페이지의 관리 상태, 답변의 신속성과 신뢰성, 치과소개에 대한 정보의 충실성, 위치 설명이나 약도가 충분히 상세한지가 있다. 홈페이지 유무와 관련 없이 온라인에 올라온 병원의 평가도 중요하다.
오프라인상의 특징 : 가장 손쉽게 할 수 있는 것은 전화 상담이다. 전화상담은 수화기 들 때까지의 전화벨숫자와 인사말, 상담태도 및 위치설명에 대한 충실도가 있다. 탐문을 통하여 파악이 가능한 것은 병원의 분위기, 대기환자수를 토대로 한 내원환자의 추정치, 환자들의 평판이 있다. 모니터 요원이나 직접방문을 통해 파악이 가능한 것은 접수대와 접수인의 복장과 인상, 대기실의 정돈, 음악 그리고 분위기, 전체적인 병원의 분위기, 원장과 직원의 응대 태도, 상담 시간과 상태태도, 상담대기시간, 진료실이나 상담실의 청결과 분위기, 원장과 진료 스탭의 복장, 태도 그리고 친절도, 호칭이나 언어사용, 수납 절차나 태도, 배웅 태도 등이 있다.
차를 가지고 내원한 경우 주차장의 편리성과 주차요원의 친절도, 주차장에서 치과로의 안내판의 적절성도 평가 사항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