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진정법과 임플랜트 시술의 가이드라인은 어떻게 설정해야 될까?
대한치의학회(회장 김여갑)가 다음달 22일 백범기념관 컨벤션홀 및 대회의실에서 ‘치과 진정법 및 임플랜트 시술의 가이드라인 설정’을 주제로 대토론회를 연다.
컨벤션홀에서는 치과 진정법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며, 대회의실에서는 임플랜트에 대해 다뤄질 예정이다.
치과 진정법에 대한 심포지엄에서는 ‘치과 진정법의 가이드라인’을 주제로 홍정표 교수(경희대 치전원 악안면통증구강내과학교실)가 ‘치과 진정을 위한 인지 행동 치료법’을 주제로, 김현정 교수(서울대 치전원 치과마취과학교실)가 ‘치과 진정법 가이드라인의 세계적인 경향’을 주제로, 박호원 교수(강릉치대 소아치과학교실)가 ‘대한소아치과학회에서 권장하는 소아 진정요법의 가이드라인’을 주제로, 김영균 교수(분당 서울대병원 구강악안면외과)가 ‘치과 외래에서 시행하는 진정법’을 주제로 발표한다.
또 구연에서는 부산대 치전원, 원광치대, 단국치대, 이화의대 소아치과, 서울대 치전원, 경희대 치전원에서 행해지고 있는 진정법 프로토콜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임플랜트에 대한 심포지엄에서는 김진수 교수(경북대 치전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가 ‘임플랜트 시술을 위한 영상진단’에 대해, 이백수 교수(경희대 치전원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가 ‘임플랜트 시술을 위한 외과술식’에 대해 발표한다. 또 권호범 교수(서울대 치전원 치과보철학교실)가 ‘임플랜트 시술을 위한 보철술식’에 대해, 최성호 교수가(연세치대 치주과학교실)가 ‘임플랜트 시술을 위한 계속 관리’에 대해, 한성희 위원장(치협 회원고충처리위원회)이 ‘임플랜트 합병증과 관련된 환자의 분쟁’에 대해 발표한다.
또 구연에서는 ▲심미성을 고려한 전치부 임플랜테이션의 프로토콜(권용대, 권긍록 교수) ▲플랩리스 임플랜테이션의 프로토콜(최병호, 정승미 교수) ▲Simple 임플랜테이션의 프로토콜(오승환, 조혜윤 교수) ▲상악동 거상술의 외과적, 보철적 프로토콜(오희균, 박상원 교수) ▲단국치대에서 시행된 임플랜트 치료의 후향적 연구(이재훈 교수) 등에 대한 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
이번 대토론회에서는 치의학회에서 제정한 연송치의학상에 대한 시상식도 함께 진행되며, 참석한 회원에게는 보수교육점수 4점이 인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