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대구에 대규모 기공공장 추진 해외지역 기공물 수주받아 운영

관리자 기자  2009.01.15 00:00:00

기사프린트

복지부·치기협 계획안 협의중


대규모 치과기공물 제조센터 설립에 대한 논의가 정부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성사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대구지역에 설립될 것으로 보이는 이 기공공장은 국내 기공물이 아닌 미국 등 해외지역의 기공물을 수주 받아 보세가공 후 다시 배송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치과기공사협회(이하 치기협)에 따르면 최근 보건복지가족부(이하 복지부)에서 치기협에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계획안에 대해 문의해 와 현재 양측이 협의 중이라는 것이다.
이 안이 나온 배경에는 현재 금천구 가산디지털 단지 내에서 50여명을 고용해 해외 기공물을 유치 및 제작하고 있는 재미교포 사업가 J씨가 이 같은 구상을 한나라당 S의원을 비롯한 대구 지역 국회의원들에게 설명, 이 프로젝트가 다시 복지부 쪽으로 전달되는 우여곡절이 있었다.


일단 한국의 우수한 기공기술을 토대로 외화획득 뿐 아니라 상당한 규모의 고용창출이 가능하다는 것과 특히 침체된 대구 지역 경제가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 및 중앙 정부의 이해관계가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치기협 쪽에서도 만약 전체 치과기공계의 권익을 침해받지 않고 현행법을 위반하지 않는다는 전제라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기공기술로 외화를 벌어들인다면 불황타개를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으며 3000명 정도가 일할 수 있는 물량을 매일 가져올 수 있을 정도로 수주물량 자체는 풍부하다는 것이 J씨의 주장이라고 치기협 관계자는 전했다.


송준관 치기협 회장도 지난 5일 치과계 전문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전체 치과기공사를 위한 기회가 된다면 할 것”이라며 “치과기공사를 위해 고용창출을 할 수 있고 일반 기공소보다 대우도 좋다면 굳이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다만 송 회장은 “우선 모든 인력을 다 치과기공사로 채워야 할 것”이라며 “관리 인력의 경우 치과기공사가 아닌 인사로 운용될 가능성이 있어 나중에 사업이 변질될 위험을 고려, 모든 인력을 다 치과기공사로 충당해 달라는 건의를 복지부에 전달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제는 과연 이 프로젝트가 원안대로만 진행되겠느냐하는 점이다. 순수 외국 기공물을 가지고 와서 고용을 창출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지만 당초 계획대로 운영되지 않을 경우 음성적으로 국내 기공물을 소화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우려가 벌써부터 기공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이 기공공장의 대표가 누가 돼야 하느냐도 논란거리다. 사업을 제안한 재미교포 J씨가 지분 소유에 대한 법적인 해결을 요구한다면 치기협 측에서는 난감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치기협 측은 이와 관련 조만간 가산디지털 단지 내 운영되고 있는 사업장을 방문해 예상되는 문제점 등을 파악한다는 방침이다.
윤선영 기자 young@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