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내년부터 이종 협진 가능 복수면허자 이종 의료기관 개설 공포 후 시행

관리자 기자  2009.01.19 00:00:00

기사프린트


현재 치과의사·의사 동시 면허자는 35명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지난 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개정법률안이 이달 중순경 공포되면 치과의사가 의사 면허를 가진 경우 하나의 장소에 한해 치과와 의과 의료기관을 함께 개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는 2010년부터 치과병원에서는 의사나 한의사를 고용해 의과나 한의과 진료과목을 추가로 설치·운영할 수 있게 되는 등 의료기관 내에서 다른 종류의 의료인 사이에 협진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치과의사 면허를 가진 의사가 같은 장소에서 의과와 치과의원을 동시에 개설할 수 있게 되며, 2010년부터는 치과의사가 병원이나 요양병원, 한방병원에 고용돼 진료를 할 수 있게 되는 등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진료시스템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지금까지는 복수면허를 가지고 있더라도 1개의 의료기관만을 개설하도록 돼 있었으며,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의료행위를 하는 의료인의 종류를 제한해 왔다.
본지가 복지부 면허계에 확인해 본 바에 따르면 치과의사와 의사의 면허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경우는 35명으로 확인됐다.


또한 지난 2008년 1월 현재 의사면허를 취득한 후 한의사 면허를 취득한 경우가 94명, 한의사 면허 취득 후 의사면허를 취득한 경우는 87명으로 알려졌다.
이번 의료법 개정에서 복수면허자의 의료기관 개설을 허용한 것은 의과, 한의과  복수면허자에 대해 1개 의료기관만을 개설하도록 한 의료법 규정이 헌법재판소에서 위헌판결이 내려져 지난해 말까지 법률을 개정하도록 돼 있었다.


또한 오는 2010년부터 병원급 의료기관에서 의료행위를 하는 의료인의 종류를 제한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의료인을 고용할 수 있도록 해 의료기관 내에서 다른 종류의 의료인 사이에 협진이 가능하도록 의료법이 개정됐다.


이는 특히 의과, 한의과 등 다른 직종간 의료인의 협진체계를 허용해 국민들로 하여금 의료편의를 도모하고 의료경쟁력 강화를 도모한다는 것이 복지부의 법 개정 취지다.
한편 치협이 강력하게 반대해온 건강보험 비급여 비용에 대한 고지의무와 환자진료기록 열람의 제한은 개정법률안이 공포된 후 1년 뒤에 시행되며, 외국인 환자 유치행위 허용은 법 공포 후 3개월 뒤 시행된다. <관련기사 1705호(2009년 1월 15일자) 1면 기사 참조>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