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김종엽 원장의 지상강좌]CAD/CAM 지르코니아 보철의 임상 적용

관리자 기자  2009.02.19 00:00:00

기사프린트

 

현재 여러 회사의 다양한 CAD/CAM 또는 CAM 시스템을 이용한 지르코니아 보철물이 만들어지고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지르코니아는 다른 도재와의 비교시 뛰어난 물성과 생체적합성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점점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임상에서 지르코니아의 보철물 제작 시 각 단계와 그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살펴보려 한다. 이번 호에서는 진단에서 최종 인상 후 기공작업 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려 한다.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보철물의 경우 짧은 역사 등의 이유로 지금까지 발표된 문헌이 제한되어 있고, 금속-도재관 처럼 긴 시간 동안의 관찰을 통한 성공과 실패의 양상을 다룬 논문은 없어 그 문제를 다 알 수는 없지만 금속-도재 보철물과 비교 시 연결부위의 두께가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금속-도재를 이용한 계속가공의치의 경우 연결부위에 필요한 최소한의 높이 2.5mm, 폭2.5mm로 그 표면적은 6.25mm2 정도이나,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의 경우 도재의 깨지기 쉬운 성질(brittleness)등을 고려할 때 지대치와 pontic의 연결부위의 두께가 두꺼워야 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 두께는 9mm2 이상이 일반적으로 추천된다. (그림 1.)


이러한 차이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진단 시에 이러한 두께의 연결부위를 형성할 공간이 있는 지의 평가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평가를 위해서는 진단 wax-up 등을 복제한 clear vacuum shell 또는 silicon index를 이용하여 치아 삭제 단계는 물론 치아 삭제 후 임시치아를 이용하여 삭제량 및 연결부위의 공간의 평가가 필요하다. (그림 2.)


또한 심미 보철수복을 위한 요건 중 투과도는 제조방법에 따라 조금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투과도가 높지 않아 변색된 치아의 색 차단 등에는 유리하나 투명도가 높은 인접 자연치와의 색조를 맞추는 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런 경우는 ‘엠프레스’ 등의 다른 재료의 선택을 고려하는 것이 유리하겠다. (그림 3.)


2007년 Jun Kunii 등의 ‘CAD/CAM에 의해 만들어진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소성이 변연부와 내부의 접합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보면, 소성 시 pontic 부위와 지대치 사이의 수축률이 달라지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므로  pontic의 수가 많고 보철물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접합도가 떨어짐을 예상할 수 있겠다.


일반적으로 세개 이상의 pontic을 가지는 경우는 그 사용을 제한하는 것이 좋겠다. 이상 지르코니아 계속가공의치나 크라운을 계획할 때 진단과 계획 과정 중 살펴봐야 할 일반적인 내용이었고 각각의 단계별로 주의할 점들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 Tooth preparation

먼저 치아형성(tooth preparation)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완전도재관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치부에서는 1.5-2.0mm의 치아삭제가 요구되며, 구치부에서는 교합면을 기준으로 2.0mm의 치아삭제가 필요하다. 변연부위는 균일하고 넓은 chamfer마진이 추천된다. (그림 4.)
또한 깊은 shoulder나 knife edge 등의 변연형성은 피해야 하겠다. Undercut 또는 groove 등이 있거나 날카로운 부분이 있어서는 아니 되겠다. (그림 5.) 이러한 날카로운 부분들이나 언더컷 등은 스캐닝과정에서 부정확성을 초래할 수 있고, 정확하게 스캐닝 되었다 하더라고 밀링 과정 중에 문제를 만들 수 있어 최종 보철물의 접합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특히 변연부의 J자 형태의 변연 형성은 접촉 방식의 스캐너에서는 다이의 부스러짐이 생길수 있고, 레이져 등의 광선을 이용하는 비접촉 방식의 스캐너에서는 빛의 산란으로 인해 정확한 변연부의 자료를 읽기가 어려워진다. 구치부에서 교합면 삭제시 그 높이의 차이가 너무 나면 스캐닝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균일한 치아삭제를 위해 임시치아의 두께를 측정하거나 실리콘 등으로 만든 preparation inde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