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협 업무 중 수련실태조사 및 수련병원 선정권, 전문의 시험 관리 업무를 치병협으로 이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장영일 대한치과병원협회(이하 치병협) 회장이 지난달 26일 전문지 기자간담회를 통해 “전문의 수 등 전체적인 윤곽은 복지부와 치협 선에서 결정을 하되 수련실태조사 및 수련병원 선정, 전문의 시험 및 배출 후 관리 업무 등은 해당 단체인 치병협에서 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하지만 치병협이 이 같은 권한을 갖게 될 경우 ‘수련의 수를 무제한 늘릴 것’이라는 공직에 대한 불신이 개원가 밑바탕에 깊이 깔려 있어 관련 업무의 이관이 쉽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이에 대해 장 회장은 “과거 40여년간 임의수련을 하는 동안에도 수를 무제한 늘리지 않고 30~35% 수준을 유지해 왔다”면서 “개인적으로도 이 수치가 적절하며 이후 치협의 강제가 아닌 치병협 자율적으로 숫자를 조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치협이 강제할 경우 오히려 반발만을 부추길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장 회장은 “치협과 복지부의 일부 관계자들은 어느 정도 관련 업무를 이관해야 한다는 것에는 공감을 하면서도 현재 치병협이 조직이나 규모에 있어 여력이 안돼 주지 못하고 있다는 입장”이라면서 “그동안의 노하우가 있기에 이관해 주면 얼마든지 잘 할 수 있다. 오히려 관련 업무 이관이 치병협의 내실을 다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역설했다.
그는 특히 “의과의 경우, 의협, 병협, 의학회가 상호 보완, 협력하면서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가고 있지만 치과는 치협이 모든 업무를 장악하는 상황”이라며 “개인적으로는 치병협이 치협의 1/3 내지 1/2 정도 규모로 커져야만 한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의과의 경우 세 단체가 사안에 따라 적절히 중재와 상호보완 역할을 하면서 복지부 및 대정부 정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반면 치과의 경우 치협의 정책적인 부분을 중재 및 상호보완 할 단체가 없다는 것.
그는 이에 “치병협의 성장이 필연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관련 업무이관이 필요하다”면서 “앞으로 국립대 치과병원들이 실질적인 독립을 하게 되면 치병협의 기능은 더욱 커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장 회장은 이 같은 주장에 앞서 이미 지난달 19일 열린 치병협 총회를 통해 전문의관련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대한병원협회와 한방병원협회 관계자를 초청한 가운데 의과와 한의과의 현황을 듣는 자리를 갖고, 관련 논의를 ‘공론화’하는 등 본격적인 행보를 보이기 시작했다.
또한 2009년 사업계획에 이 같은 내용을 포함시키는 한편 근거 명시를 위해 정관 개정를 단행하는 등 차곡차곡 준비해 나가고 있다.
한편 이 같은 주장에 대해 치협 관계자는 “사석에서 이 같은 논의가 있기는 했지만 치병협으로부터 정식 요청을 받은 적은 없다”면서 “아직까지는 이와 관련해 아무런 논의가 이뤄진 바 없다”고 전했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