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전문의 해결 2개 방안 마련 특위 본회의 상정…심도 논의 후 결정키로

관리자 기자  2009.03.12 00:00:00

기사프린트


치과의사전문의제도개선특별위원회 산하 소위원회(이하 특위소위)가 의료전달체계 확립을 골자로 한 해결방안을 전문의 특위 본회의에 상정, 전문의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할 전망이다.
특위소위는 지난 4일 최종운 위원장, 이원균 부위원장 등 위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두 번째이자 마지막 회의를 치협 대회의실에서 열었다. 이날 소위에서는 특위 본회의에 상정할 전문의 해결 방안을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하고, 실현 가능여부 등을 최종적으로 점검했다.


특위소위가 본회의에 제시할 첫 번째 A안은 ▲의료전달체계의 확립 ▲탄력적 소수정예(중·장기적 기준 제시) ▲수련치과병원지정기준 강화 등으로 요약된다. 또 다른 B안은 의료전달체계 확립 부분은 동일하지만 경과조치를 마련해 가능한 많은 회원에게 응시자격을 부여하자는 부분이 A안과는 다르다.


A안, B안 동시에 포함된 의료전달체계 확립의 경우 이미 전문의제도 확립의 선결 조건이라는 인식에는 이견이 없었으나 의료법에서 의료전달체계와 관련된 조항 삽입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또 이날 회의에서는 수련교육의 질 강화에 대한 중요성이 다시 한 번 부각됐다.
김철환 위원(치협 수련고시이사)은 “수련병원 실태조사 당시 수련기관 지정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면서 “수련병원 지정 강화는 단기적으로 볼 때 일선 수련병원들에게는 어려운 일이 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수련 교육의 질을 강화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소위 회의에서는 전문과목 수를 조절하자는 파격적인 제안도 나왔다.


양영환 위원(경기지부 회장)은 “꼭 필요한 전문과목에만 전문의를 두자는 의견도 현재 개원가에서 설득력을 얻고 있다”면서 “전문의 문제를 풀기 위해 에너지를 쏟는다면 이 같은 방안도 고려해 볼만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종운 위원장은 “특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마련한 소위를 오늘로 마치게 됐다”면서 “두 번의 소위 회의를 거쳐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안들을 도출해 큰 틀을 마련한 만큼, 본 회의에서 두 가지 안을 놓고 다시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대의원총회에 보고하는 수순을 밟겠다”고 밝혔다.
 김용재 기자 yonggari45@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