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 악안면임프란트학회 학술대회 해외연자 특강 Point/에릭 롬펜 교수(벨기에 Liege 대학)

관리자 기자  2009.03.16 00:00:00

기사프린트

임플랜트 치료 위한 최신 지견

 

Bone augmentation은 크게 3가지로 나눠 생각할 수 있다. Vertical augmentation에 속하는 Internal augmentation(=sinus lift)과 supracrestal augmentation이 있으며, Horizontal augmentation(thickening)이 있다.


술식의 난이도는 supracrestal 술식이 가장 어려우며, Horizontal, Internal augmentaion순이다. 재현성은 이와는 반대로 Internal augmentation인 sinus lift가 가장 높고, supracrestal 술식이 문헌상의 data가 가장 적으며 재현성이 가장 낮다. 따라서 evidence based technique은 단지 sinus augmentation 술식이라 할 수 있다.


현재까지 vertical augmentation에 대한 타당한 연구는 4팀 정도가 있으며, 2팀은 상당히 많이 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나머지 2팀은 이와 반대의 의견을 가진다. Supracrestal augmentation에는 GBR, 자가골 이식, DO(distraction osteogenesis) 등이 있다. GBR은 15~20%의 실패율을 보이며 회의적인 술식이라 생각한다. DO는 수술이 매우 어렵고 위험하며 segment 흡수와 잘못된 방향 등의 합병증을 주의해야 한다.  Thickening에는 GBR, 자가골 이식, bone splitting이 있으나 어느 술식이 적당한지에 대해서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GBR은 모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술식은 아니다. Crest 부위에서 두께를 증가하기 위해 block bone이 유리하며 단순히 GBR만으로 crest부위의 골 증대는 어렵다. 본인은 주로 chin bone에서 cortical bone만을 harvest하고 sponge bone은 보존하여  신경 손상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한다. 이 cortical bone으로 3D chamber를 만들고 여기에 자가골 chips와 bovine HA 이식재를 채워넣고 흡수성 막으로 덮어 준다. 3~4개월 후 임플랜트를 식립한다. 이렇게 하면 연조직 closing이 쉬우며 약간 노출되어도 크게 실패하지는 않는다.


Bone splitting은 매우 민감하고 어려운 술식이며 본인은 골질이 단단하고 술 후 흡수가 많이 발생하는 하악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흡수를 줄이기 위해 semi-thickness flap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현재 short 임플랜트의 상당히 높은 성공률이 보고되고 있다. 유한요소 분석에서 7mm 이상의 임플랜트 주변 골에는 하중이 거의 걸리지 않았으며, 7~9mm의 short 임플랜트가 long 임플랜트보다 cervical 부위의 골에 더 적은 stress를 보였다. 현재까지 long 임플랜트가 성공률이 더 높다는 것은 증명되지 않았다.


상악동 거상술은 상당이 예지성 있는 치료 방법으로 자리잡고 있다. 상악동을 거상하면 발치와와 같이 blood clot이 차게 되고 잔존하는 bony wall에서 bone regeneration이 일어나는 이상적인 GBR 모델이 된다. 이를 위해 높은 위치에 8~10mm의 작은 window를 형성하여 bony wall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상악동은 다시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bovine HA와 같이 비흡수성 이식재로 채워주는 것이 좋다. Window는 흡수성 차폐막으로 덮어주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비해 transalveolar approach는 bony wall이 완전히 detach되지 않기 때문에 regeneration의 가능성이 더 낮다. 본인은 가용골이 6mm 이상인 경우에는 short 임플랜트를 사용하며 6mm 이하인 경우 sinus lift 후 10~13mm 임플랜트를 식립하고 있다.


임플랜트 식립 후 soft tissue recession은 흔히 나타나며 문헌상 평균 0.5~1.5mm 정도로 보고되며 초기 1달간 50%, 3달간 90%의 퇴축이 발생한다. 임플랜트 주위 연조직에는 sharpey"s fiber가 없으며 collagenous tissue가 카펫처럼 약하게 깔려 있기 때문에 bone support가 없으면 치은 퇴축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를 막기 위해서는 항상 bone level을 유지하며 soft tissue interface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Bone level이 내려가는 이유로는 Microgap, implant design/loading, surgical trauma, soft tissue interface가 있다. 따라서 수술을 최소화 하며, flapless surgery, partial th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