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 식립 전 골 결손부가 심하며 그 부위의 크기가 큰 경우 particulate autogenous bone이나 다른 bone material로 augmentation 한 결과가 그리 좋지 않을 수 있으며 술식이 불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환자의 경우 autogenous block bone을 이용한 graft는 오랜 세월 gold standard로서 선택되어져 왔다. 이처럼 block bone graft를 해야 하는 경우 시술 자체가 침습적이고 쉽지 않아 술자의 숙련된 skill을 요하기 때문에 신중히 결정하여야 하며 배경지식을 정확히 갖춘 상태에서 시행해야 할 것이다.
blockbone graft의 donor site로는 iliac, rib, mandibular body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술자가 주로 선택하는 mandibular symphysis는 이미 여러 술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부위이며 좋은 donor site로 판명되어있다. 일단 수술 부위가 구강 내라는 동일부위이며 iliac이나 rib bone등을 이용하는 술식에 비해 빠르게 bone을 채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부위의 bone은 resorption이 최소이며 metal plate나 screw등으로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고 revascularization과 mechanical strength가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술자도 edentulous & partial edentulous case, 특히 상악 전치부위의 severe bone resorption 부위에서 chin block bone을 사용함으로써 훌륭한 결과를 여러 번 경험한 바가 있다.
환자는 24세 남성으로, PFM 수복되어 있던 # 11, #21(Endodontic treatment on #11)의 crown이 fracture 되는 사고를 당하여(그림 1) 해당 치아 부위에 implant 식립을 원하였다. 발치 후 즉시 식립을 시행하려 하였으나 환자의 labial side에 severe bone defect가 관찰되어 심미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임플란트 식립 전에 ridge augmentation이 필요하리라 판단되었다. bone resorption 양이 상당하였으므로 Block bone graft를 시행하기로 하고 mandibular symphysis에서 block bone을 채취하여 recipient site에 screw로 고정시켜 주었다(그림 2, 3, 4). 추가적으로 연조직의 volume 유지를 위해 osteon과 PRP를 mix하여 block bone 위에 covering 시켜 주었다(그림 5, 6).
graft 시술 3개월 후 #11, #21의 발치를 시행 후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healing abutment를 채결하였다(그림 9, 10, 11, 12, 13). 식립 3개월 후 abutment를 채결하고 provisional restoration를 장착하였다. Provisional restoration 기간 동안 harmonious gingiva 형성을 위해 provisional crown을 매 follow up 시 조정해 주었다(그림 14,15). 이를 통해 심미적 성공의 또 하나의 요소인 심미적이며 조화로운 연조직을 형성 할 수 있었다.
abutment levle에서 Impression taking을 시행하여 보철물을 제작하였으나 gingiva 형태나 emergence profile등이 심미적 완성도가 떨어져(그림 16) gingiva molding을 다시 한 후 fixture level impression을 채득하여 abutment부터 재제작하였다. (그림 17)은 처음 만든 보철물을 새로이 제작한 abutment에 cast상에서 acaptation 해 본 모습이다. gingiva의 차이가 심하게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새로운 보철물은 보다 심미적인 성공을 완성하고자 zirconia core(그림 18, 19) 제작 후 All ceramic crown을 완성하였다(그림 20, 21). 임플란트 사이 interproximal papilla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채워지고 있는 걸 follow up 기간 동안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해 보다 심미적인 smile을 가져 왔다(그림 22). 마지막 사진 (그림 23, 24)는 최종 보철물 장착 2개월 후의 follow up 사진이다.
Block gone graft는 구강외과 전문의가 아닌 경우 꺼려될 수도 있는 술식 일 것이다. 그러나 훌륭한 심미적 결과를 얻고자 할 경우 반드시 시행해야만 하는 경우에 맞닥뜨리게 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