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의출신 김춘진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민주당 의원이 소외된 자들의 권익을 대변하는 ‘인권 국회의원’으로 거듭나고 있다.
김 의원은 최근 ‘위장 결혼에 따른 국적 상실자 구제법안’ 정책토론회를 열고 입법화를 가속화 하고 있다.
국적상실자 구제법안은 처음에는 취업 등을 목적으로 위장 결혼해 입국했으나, 한국에서 가정을 이뤄 아이를 낳고 진정 한국 국민들로 살아가기를 원하는 자들의 국적을 지켜주자는 의미의 법안이다.
김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2002년 이후 국적 상실위기에 처한 국민은 1만여 명에 육박하고 있다.
김 의원은 17대 국회 당시에도 과거 국가가 나병 환자인 한센인들의 인권을 탄압한 사례를 찾아, 이들의 명예 회복과 보상을 추진하는 ‘한센인 명예회복 및 피해보상 특별법’을 제정해 당시 인권 관련단체 및 동료 의원들로부터 매우 좋은 법안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현재 김 의원은 한센인들 사이에서 자신들의 억울함을 풀어준 ‘은인’으로 존경받고 있다. 또 최근 들어서는 ‘동학농민 혁명참여자 명예회복 특별법 개정안’ 등을 발의하는 등 현재와 과거를 넘나드는 인권관련 법안 창출에 노력하고 있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