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산업 R&D 투자
GDP 상승 3배 효과”
진흥원·한국지역학회 보고서
제약산업 R&D에 1조원을 투자하면 3조1천5백30억원의 GDP 상승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한국지역학회는 최근 ‘HT(Healthcare Technology) 산업의 R&D 투자 활성화 정책토론회"에서 발표한‘BT 산업 R&D 투자의 경제성 효과 분석 및 정책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제약산업 투자효과는 타 산업평균인 2조3백73억보다 높으며, 전기전자 업종(1조8천8백20억)의 1.8배, 수송기계 업종(1조5천2백10억)보다는 2배 이상 높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또 1%의 약가보조는 현재가치로 GDP를 약 0.05% 증대시킨다고 주장했다. 결국 1조원의 연구개발 투자효과와 동일한 GDP 상승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의약산업 전체 매출액의 80%까지 약가 보조를 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결과적으로 약가 보조보다는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것이 효과가 월등한 만큼 정부는 의약품에 대한 약가 보조보다 R&D에 투자해 신약개발 정책에 주력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R&D 투자가 활성화되지 않는 이유로 ▲신약개발 관련 기초연구를 상품화로 연결하기 위한 시설·인력 등의 인프라가 부족하고 ▲제약산업이 내수위주로 활동해 규모가 작아 R&D 투자를 감당할 수 없으며 ▲약가 책정 기준이나 방법이 명확하지 않고 R&D투자의 결과인 신약에 대한 가치인정과 보상이 작아 R&D 투자에 대한 의욕이 저하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신경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