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헌 원장의 임상 핵심 Guide
PRP 술식 1
■ 혈액 조성 및 platelet 조직
본지에서는 급변하는 개원환경과 최신 치의학에 대한 독자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각 분야별 유력 연자의 핵심 임상주제를 별도 게재키로 했습니다. 특히 첫 순서로 골이식, 미용치과 등 다양한 치과분야로의 응용이 가능한 PRP(platelet-rich-plasma) 술식에 대해 이성헌 원장님(뉴욕M치과의원)이 총 8회 분량을 연재합니다. 치의학의 최근 흐름을 짚어 갈 임상 및 기초 분야 지견에 대해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을 당부드립니다. <편집자주>
최근들어 platelet 농축물과 성장인자를 이용한 재생 및 미용적 사용에 대해서 여러 의과 분야에서 응용이 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 치과분야에서도 과거에 오랫동안 골재생분야에서 사용되었던 platelet growth facto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에 대한 재조명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것 같다.
필자는 이번 연재에서 사실상 오랫동안 치과 골이식 분야에서 골재생 촉진물로 이용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실질적 이용에 있어서는 임상의들 사이에서 채혈의 문제나 시술의 복잡성 때문에 등한시 되어 왔던 platelet growth factor를 기초적이고 원론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통한 임상적 적용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한편 나아가서 턱얼굴 미용영역에서의 적용까지도 적용범위를 넓혀 앞으로의 치의들의 임상범위를 넓히는 데 조그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먼저 기초적인 내용인 혈액의 조성 및 platelet의 조직 생리학적인 면을 살펴보겠다.
그림 1에서 보면 혈구와 혈장이 각각 45%와 55%를 구성하고 혈구는 다시 RBC 95.1% WBC 0.1%, Platelet 4.8%로 나뉜다.
그림 2에서 전혈을 항응고제를 첨가시켜서 원심분리하면 혈장과 적혈구로 분리되며 그 중간층에 약1% 정도의 platelet와 백혈구층으로 나뉘어지는데 이를 buffy coat라고 하며 여기에 혈소판의 94%가 들어있다. 따라서 혈소판을 농축할 때 이 buffy coat를 정확하게 추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platelet은 myeloid stem cell에서 분화된 megakaryocyte에서 생성이 되며 1~4마이크로미터의 작은크기이다(그림 3) 핵을 가지지않아서 단백합성은 불가능하지만 세포소기관은 모두가진 분비세포이다. 즉 megakaryocyte에서 만들어진 물질을 지니고 있다가 방출하는 일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수명은 말초혈액내에서 7~11일 정도 순환한다.
platelet는 순환시에 원반모양의 형태를 띠고 있다가 collagen, thrombin, epinephrin, ADP, thromboxane에 의해 activation되면 구형형태를 띠다가 growth factor이나 coagulation factor를 분비하면서 spiny sphere 형태의 shape change가 일어난다.(그림 4)
platelet는 lysosomal granule과 알파 granule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알파 granule에서 항응고 작용에 관여하는 효소 및 growth factor를 분비한다. 다음 회에는 혈액의 항응고 작용과 platelet의 역할 및 관계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