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헌 원장의 임상핵심 가이드
PRP술식 3
지난 호에서는 혈소판의 지혈과정에서의 역할과 혈액응고 반응에서 혈액응고 인자와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그 과정에서 혈소판이 어떻게 활성화 되는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번 호에서는 혈소판이 활성화 되었을 때 분비되는 growth factor들과 이들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혈소판은 알파 granule, dense granule, lysosome 등 3개의 major granule를 가지고 있다. 그중에서 알파 granule에서 growth factor가 주로 분비된다. 혈소판은 최소한 60여종의 조직 재생과 관련된 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은 chemotaxis, cell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giogenesis, immune modulation, antimicrobial activity, remodeling 등을 담당한다. 다시 말해서 조직이 injury를 받으면 출혈과 함께 blood clot이 생기고 이 blood clot이 포함하고 있는 platelet가 분비하는 growth factor의 작용에 의해 이 blood clot는 조직치유의 시발점이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원리에 의해 우리는 platelet 농축액을 이용함으로써 연조직 및 골조직의 재생에 있어서 보다 예지성 있는 처치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platelet 농축액을 이용한 고농도의 growth factor는 자가혈에서 얻을 수 있으므로 매우 안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단백질이 target cell의 수용체에 작용해 cell 자체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기능을 촉진시킬 뿐 핵에 영향을 미쳐서 gene의 발현 자체를 변화시키는 mutagenic potential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더욱 안전한 것이다.
주요 growth factors 와 그 기능을 보자면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PDGF(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 stimulate cell replication, promote angio genesis, promote epithelialization, promote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 promote form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regulate bone cell metabolism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promote angiogenesis
▲EGF(epidermal growth factor)
: 세포분화 재상피화 혈관형성 촉진 collagenase activity 촉진
▲FGF(fibroblast growth factor)
: 혈관내피세포와 fibroblast 분열촉진 및 혈관형성촉진
혈소판은 지혈작용에 있어서 가장 선봉적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출혈 후에 조직치유에 있어서 다양한 cytokine을 분비하여 조직치유에 필요한 cell들을 유혹할 뿐만 아니라 growth factor를 분비하여 이에 관계된 세포들을 직접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