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봉현 원장의 지상강좌 <1762호에 이어>
연재순서
1. 완전 무치악에서의 임플란트 유지형 보철 수복시 고려사항 I, II
2. Two fixture with Removable Prosthesis
3. Four fixture with Removable Prosthesis
4. Four fixture with Combination Prosthesis
5. Implant born Removable and fixed Prosthsis
가철성 보철 완전무치악 수복시 임플란트의 식립 위치는 임플란트의 장축에 교합력을 부여하는 고정성 보철과는 보철 수복적 측면에서 위치가 달라진다. 가철성 보철은 임플란트 지대주에 내관이 형성되며 그 위에 외관 형성을 하며 협설측과 상방에 frame work이 장착된 후 치아가 수복 되어야 하기에 임플란트의 식립위치는 치아의 장축에서 설측으로 식립 되어야만 가철성으로 수복이 가능하다. (그림 7)은 임플란트에 연결된 bar와 잠정적 최종 보철물의 치아의 외형과의 관계를 실리콘 index를 통하여 볼 수 있다. (그림 8)은 최종보철물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잘못 식립된 임상증례로 5개의 fixture가 식립이 되었으나 제1 소구치 cantilever fixed detachable prosthesis로 제작이 되었으며 screw hole의 위치가 협측으로 보여 비심미적이며 제작된 임상증례이다. (그림 9)는 잠정적 외관을 고려한 가철성 임플란트 보철의 임플란트 fixture 식립 위이다.
<그림 7>
<그림 8>
또한 가철성 임플란트 보철의 악간거리는 중요한 고려 사항중 하나이다.
치조골의 genetic base line은 치아의 형성과 더불어 일어난다. Meckel"s cartilage에서 Mandible의 basal bone이 형성이 되며 치아의 붕출과 더불어 tooth bud이 치관부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치조골 형성을 동반하게 되어 치아의 소실은 치조골 흡수를 야기 하게된다. Atwood와 Talgren study에서 치아가 소실되면 첫 3-6개월 사이 25-30%가량의 치조골 흡수가 일어나며 평균 수직으로 1.0 +/- 2.25mm 수평으로 3.06 +/-2.41mm 정도의 골 소실이 일어나 협 설측 폭경의 감소가 수직적 골 소실이 더 많은 것으로 보고 하고 있다. 환자가 완전 무치악으로 오랜시간을 보내게 되면 상악의 치조골은 좁아지고 하악이 넓어져 보이는 이유는 치아의 소실로 인한 basal의 bone의 노출에 의해 일어나며 (그림 10)에서 상악의 incisive papillar는 치아의 후방에 있던것이 치조골 흡수로 인해 최 전방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과도한 치조골 흡수가 있는 경우 임플란트 유지형 고정성 보철로 수복할 경우 소실된 치조골의 량을 pontic으로 수복 하기에는 심미적 차원에서 또한 보철 기공과정에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게 된다. 그와 반대로 최근에 치아가 발치되어 치조골 흡수가 일어나지 않은 경우 임플란트 유지형 가철성 보철로 수복을 시도 할 경우 attachment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의 부족으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임플란트 유지형 가철성 보철의 경우 fixture 상방에 abutment가 체결되어 male, female의 구조물과 보철물이 장착이 되어야 함으로 최소한 한쪽 arch당 10.0mm의 공간이 필요하며 상, 하악을 고려 할때 20.0mm의 공간을 최소한의 악간 거리가 필요하게 된다. 그림 11에 보이는 환자 임상예에서 환자가 임플란트 유지형 가철성 보철의 치료를 필요한 경우, 임플란트 식립시 의도적인 alveolar reduction을 시도하여야만 수복이 가능 하다.
<그림 9>
<그림 10>
<그림 11>
임플란트 유지형 가철성 보철에서 해부학적 고려사항뿐만 아니라 기계적인 유지 장치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American percision 단일회사에서 생산되는 attachment의 종류만도 77개나되며, 정밀도, 위치, 기능적, 유지방법, 공간의 정도에 따라 분리 되어 있다. 모든 기계적 유지 장치를 다 이해하고 사용한다는 것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로 하며 술자가 익숙한 몇가지의 attachment를 익혀 사용하는것이 더 타당하다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유지형 가철성 보철에 사용되는 attachment는 Bar, Stud, Magnetic, Friction, Rachet type등이 쓰이며 그림 12는 일반적 임상에 많이 사용되는 임플란트 attachment이다.
그림 12는 완전무치악 가철성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Bar, ERA, O-ring, magnetic 임플란트 attachment 종류이다.
<그림 12>
다음 호에서는 임플란트 fixture 식립 숫자에 맞추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Attachment의 활용과 주의 사항에 대해 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