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최병갑 원장의 지상강좌]3.총의치의 교좌 인상법(Bite Seating Impression)

관리자 기자  2009.09.10 00:00:00

기사프린트

최병갑 원장의 지상강좌

   3.총의치의 교좌 인상법(Bite Seating Impression)

 

연재

1. 티슈 컨디셔너(Tissue Conditioner)와 총의치의 임상
2. 티슈 컨디셔너를 이용한 총의치의 인상 채득법
3. 총의치의 교좌 인상법(Bite Seating Impression)
4. 상악 총의치 정중부 파절(Hairline Fracture)의 원인과 해결법
5. 총의치의 재이장법(Relining Method for Full Denture)

 


 1) 교좌 인상법의 소개

 

총의치의 인상법은 ①인상용 트레이의 파지 방법에 따라 개구 인상법과 폐구 인상법으로 ②인상 채득 시에 가해지는 압력의 정도에 따라 가압 인상법, 선택적 가압 인상법, 무압 인상법으로, ③총의치 제작 과정 중의 인상 채득의 시점에 따라 개인 트레이를 이용하는 수압 인상법(hand pressure impression), 인공치가 배열된 납의치를 이용하는 교좌인상법(bite seating impression), 그리고 기존의 완성 의치를 이용하는 동적 인상법(dynamic impression)으로 분류 할 수 있다. 개인 트레이를 손으로 파지하는 수압 인상법은 개구 인상법이고, 상하악 대합치 간의 교합 관계와 교합력을 이용하는 교좌 인상법과 동적 인상법은 폐구 인상법이다(그림 1~1). 총의치의 인상법 중 개구 인상법은 다양한 임상 기법이 소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폐구 인상법의 경우에는 재 이장을 위한 인상 채득법과 SR-Ivotray system(Schleich denture system) 그리고, 진단 의치에 의한 동적 인상법 등이 소개되어 있다.

 

교좌 인상법(咬座印象法)은 상하악의 교합관계에 의해 중심교합위에서 폐구하면서 교합력을 이용하여 인상을 채득하는 총의치의 폐구 인상법으로 1958년 일본의 동경치과대학의 야사키 마사카타(Yasaki Masakata, 矢崎 正方)교수에 의하여 고안되었다. 시적 의치상에 인공치를 배열하고 조정한 납의치상을 이용하여 상하악의 대합치가 교합된 상태에서 최종 인상을 채득함으로서, 당시의 기공 과정에 따라 총의치의 제작과정에서 누적되는 오차를 보상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그림 1~2). 총의치의 안정된 교합력은 총의치의 유지와 안정에 중요한 요소이므로, 중심교합위에서 교합력이 균등하게 작용하는 상태로 납의치상의 위치를 정확히 재현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인상 채득 방법이다. 일반적인 개구 인상법이 점막면 즉, 인상면에 초점을 맞춘 인상법이라 하면, 교좌인상법은 교합면을 중심으로 점막면의 인상을 채득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그림 1~3).

 

<그림 1~1> 인상 채득의 시점에 따른 총의치 인상법의 분류.

 

 

<그림 1~2> 인상 채득의 시점에 따른 완성 의치의 오차의  누적도.

 

<그림 1~3> 총의치의 교좌 인상법


 
2) 교좌 인상법의 특징

 

교좌 인상법은 인상 채득, 작업 모형 및 시적 의치상,의  제작 과정과 인공치의 배열에서 생기는 누적된 오차를 인공치의 교합의 조정이 끝난 단계에서 교합면을 기준으로 폐구 상태에서 인상을 채득하여  수정하는 방법이다.

 

(1) 교좌 인상법의 장점


- 교합면을 중심으로 점막면의 인상을 채득하여 인상 채득의 단계에서 오차를 수정한다.
- 폐구 인상법으로 개구 인상법에 비해 보다 생리적이다.
- 구강 점막의 지지역에 교합압을 균등히 부과한다. 
- 시술이 간편한데 비하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2) 교좌 인상 채득에 따른 주의 사항      

           
- 납 의치상의 교합 관계가 정확해야 하므로 white silicone(Fit-Checker, Fit Tester)을 사용하여 조정하여 적합도가 좋은 시적 의치상으로 만든다(그림 2~1). 또한, 교합기에 마운팅한 상태에서 교합 조정을 시행하여 안정된 교합 접촉을 확립한다.


- 상악의 교좌인상을 채득하는 경우에는 구개 후연의 경계를 설정하고  post-dam은 구강 내에서 생리적인 방법으로 납의치에 형성하도록 한다.


- 납의치상의 변연부의 border molding을 하거나 길이와 두께를 조정하여 개구해도 납의치가 탈락되지 않도록 조정한다.


- 상악의 교좌 인상에는 흐름성이 좋은 lighr body의 러버 인상재를 사용하고, 하악의 교좌인상에는 regular body의  러버 인상재를 사용한다.


- 인상 채득은 상하악을 따로 나누어 한 쪽의 인상이 완성되면 대합측의 인상을 채득한다.


- 교좌 인상 채득은 환자 자신의 교합력을 이용하므로 살며시 다물어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한다.

 

3) 교좌 인상법에 의한 총의치의 임상

 

교좌 인상법에 의한 총의치의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다(그림 3~1).


(1) 일차 인상(primary impression)의 채득


일차 인상은 환자의 치조제와 연조직의 의 상태를 검사하고 개인 트레이의 제작을 위하여 알지네이트로 채득한다. 교좌 인상에서는 개인 트레이 대신 시적 의치상을 제작하여 사용한다. 일차 인상은 알지네이트의 혼수비를 줄여 보통보다 되게 혼합하여 의치상의 변연부가 모두 포함될 수 있도록 과연장(overextension)시켜 채득한다.


개인의 무치악궁에 적합한 기성 트레이가 없는 경우에는 먼저 알지네이트로 인상을 채득하고 변연부의 형태를 수정한 후에 torch를 사용하여 인상재 표면을 건조시켜 이차적으로 알지네이트 wash 인상을 채득하면 된다(그림 3~2). 알지네이트가 기성의 금속 트레이와 분리되지 않도록 변연부에 utility wax를 압접하고 wax 표면에 면구의 섬유(cotton fiber)를 붙이면 알지네이트의 유지가 강화된다(그림 3~3).


해부학적으로 필요한 부위가 모두 포함되어 인상이 채득되면, 치과용 석고를 부어 모형을 완성하고, 석고 모형에 레진 분리제로 바세린을 균일하게 도포한 다음 트레이용 레진을 사용하여 시적의치상(trial denture base)를 제작한다. 시적 의치상은 교합 채득후에 wax denture의 의치상으로 인상용 트레이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인상재가 들어가면 치조정과 협붕(buccal shelf) 및 구개의 천정부에 비해 치조제의 경사면은 인상재의 공간이 부족하게 된다(그림 3~4). 트레이 레진으로 시적 의치상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 경화가 시작되어 열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교합면에 평행한 일차 지지역 부위만 손가락으로 압접하여 적합도를 향상시키면, 가압되지 않은 부위는 자연히 변형이 일어나 인상재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게 된다(그림 3~5). 레진이 경화되면 통법에 의해 교합제(wax rim)를 붙여 시적 의치상을 완성한다. 

 

<그림 2~1> 교좌 인상을 위한 납 의치상.

 

 

(2) 교합 고경의 결정과 중심위의 교합 채득


시적 의치상을 구강 내에 장착하고 수직 고경은 Willis법에 따라 결정한 후, 환자의 발음과 이물감등을 고려하여 높이를 수정한다(그림 3~6). 교합 평면은 Ala-tragus line을 기준으로 교합제를 수정하고 인공치를 배열할 중심선은 콧등과 하악의 전방 중심을 잇는 선을 기준으로 결정한다.
교합 채득된 위치에 상하악 모형을 마운팅하고 설측교두교합(lingualized occlusion)으로 인공치를 배열하고 치은의 형태를 수정하여 납의치상(wax denture)을 완성한다.


(3) 납의치 인공치 배열의 수정 및 변연부의 형성


납의치상을 구강 내에 시적하여 심미성과 발음 및 교합의 안정 등 인공치의 배열 상태를 확인하고 조정한다. white silicone을 사용하여 납의치상의 내면 적합도를 검사하고 입을 크게 벌려도 탈락하지 않도록 변연부의 길이와 형태를 수정한다(그림 3~7). 납의치상의 변연부는 modeling compound를 사용하여 변연부의 형태를 형성하거나(border molding), 치과용 미러를 사용하여 젖혔을 때 뺨이나 입술의 협측 만곡부가 3~4㎜ 떨어지도록 수정하면 적당하다(Dr. G. Passamonti의 방법)(그림 3~8).

<그림 3~1> 교좌 인상법에 의한 총의치 제작의 순서.

 

<그림 3~2> 알지네이트 인상을 채득 한 후 표면을 건조시켜 개인 트레이로 이용한다.

 

<그림 3~3> 트레이 변연에 유틸리티 왁스를 압접하고 면구의 섬유를 붙이면, 알지네이트가 분리되지 않고 접착이 강화된다.

 

 

<그림 3~4>

교좌 인상용 납 의치상. 적색 화살표는 치조제의 경사면으로 인상재를 위한 공간이 부족한 부위이다.

 

<그림 3~5> 교좌 인상용 시적 의치상의 제작. 치조제의 경사면은 인상재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변형이 일어나도록 가압하지 않는다.


 

<그림 3~6> Willis법에 의한 교합 고경의 결정. 두 지점간의 거리가 같아지도록 한다.

 

<그림 3~7> White silicone을 이용하여 시적의치상의 내면을 조정한다.


 

<그림 3~8> 상악과 하악의 전치 및 소구치의 협측은 입술이나 뺨을 당기면 협측구의 위치가 의치상연보다 3-4㎜ 떨어져 위치한다.


 

 

<그림 3~9> 구개부 후연의 설정은 볼 바니셔를 이용하여 흑적색 립스틱으로 표시한다. 



상악의 경우에는 구개 후연부의 봉쇄를 얻을 수 있도록 post-dam을 형성하면 교좌 인상 채득에 의한 인상용 실리콘의 후방 자극을 방지할 수 있다(그림 3~9).

 

(4) 교좌 인상의 채득, 최종 모형의 제작, 레진의 중합 및 의치의 완성


상악과 하악의 무치악 환자의 경우에는 상악 또는 하악의 어느 한쪽의 교좌 인상을 먼저 채득하고 대합 악궁의 교좌 인상을 채득한다.  인상재는 상악의 경우는 흐름성이 좋은 light body의 러버 인상재나 산화아연-유지놀 페이스트(ZOP)를 사용하고 하악은 흐름성이 중간 정도인 regular body의 러버 인상재를 사용한다. 납의치의 내면에 인상재를 담아 구강 내에 위치시킨 후 환자 자신이 살며시 다물어 상하악의 교합관계가 정확히 재현되도록 하고, 인상재의 흐름성이 좋은 초기에 뺨과 입술을 조작하여 근육의 움직임을 기록한다(muscle trimming). 여분의 인상재에 의해 변연부가 과 연장되지 않도록 2-3회 입을 크게 벌려 변연부의 길이와 두께를 조절하고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편하게 교합한 상태로 기다린다(그림 3~10).


(5) 완성 의치의 조정 및 장착


인상 채득된 의치를 통법에 의해 매몰하고 레진을 중합하여 완성한다(그림 3~11). 교좌 인상법에 의해 완성된 총의치의 경우에는 다른 인상법보다 대합치간 교합 관계의 변화가 적으므로 구강 내 장착 후 조정하고, 필요하면 중심 위를 다시 채득하고 교합기에 다시 마운팅하여 미세 조정을 시행한다. 

 

 


<그림 3~10>

여분의 인상재에 의해 변연부과 과연장 되지 않도록 2-3회 입을 크게 벌려 변연부의 길이와 두께를 조절한다.

 


<그림 3~11> 교좌 인상법에 의한 하악의 총의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