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봉근 교수의 지상강좌
연재순서
1. II급 부정교합의 치료전략, Berlin Activator Headgear combination에 의한 치료법
2. Grobety-Pfeiffer Activator Headgear combination에 의한 치료법, II급 Double plate에 의한 치료법
3.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전략, III급 Double plate에
의한 치료법
4. RME(Rapid Maxillary Expansion)를 동반한 Protraction Headgear치료법, Skeletal Anchorage를 이용한 Protraction Headgear 치료법
급속확장장치를 이용한 상악 전방견인 장치
(Protraction headgear with Rapid Maxillary
Expansion, 이하 RME protraction Headgear)
상악 전방견인을 위한 다양한 구외장치가 소개되고 있으나 그 구성 원리는 대동소이하며, 필자의 경우 간편한 Hickam type을 많이 사용합니다. 하악이 하 후방 회전되어 수직적으로 악화되는 현상을 감소시키고, 특히 TMD 우려가 있는 경우 Grummon type이나 Hickam 2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그림 1). 구내 고정원은 그림과 같은 다양한 장치(그림 2)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자의 경우 일반적인 증례에서는 간편하고 고정원이 가장 튼튼한 bonded RME를 주로 사용합니다.
제작과정과 임상지침
구체적인 bonded RME의 제작 및 시적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그림 3).
1. 상악 측방치군의 협설면을 감싸는 wire frame을 solder하고, wire frame의 견치와 제1소구치 부위에서 구외 고무줄을 걸기에 용이하도록 hook을 만들어 이 위에 레진상을 제작합니다. 치아 우식증 방지를 위해 레진상의 변연은 치은연과 가급적 일치하게 하는 것이 좋다.
2. RME를 bonding 하기 전에 환자의 구강 내에 미리 시적하여 레진상이 하악 치아와 균일하게 접촉하도록 조정한다.
3. 레진상 내면은 아세톤으로 깨끗하게 닦아내고, 구강 내에 Dry field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