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백신 주권’ 확보 절실
예방접종 22개 백신 중 7개만 국산
국내에서 예방접종 중인 22개 전염병 중 국산 백신이 있는 것은 7개 전염병뿐이어서 백신주권 확보가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원희목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한나라당 의원은 지난 8일 질병관리본부 국정감사에서 국내에서는 총 22개 전염병에 대해 백신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중 콜레라, A형간염, 결핵, 대상포진, 자궁경부암,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장염, 폐렴 등 주요 전염병 예방백신은 국산백신이 전혀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백신주권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홍역, 볼거리, 풍진, 소아마비(이상 2군전염병), 뇌수막염(기타) 등의 전염병도 국산백신이 있긴 하지만 백신을 만드는 원액을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이 역시 국내자급은 불가능하다.
원희목 의원은 “백신은 계획생산형태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전염병이 발생하고 난 후에 주문하면 수입해서 실제 국민들이 접종받기까지 길게는 4개월 정도 걸린다”며 “이렇게 되면 1군전염병인 ‘콜레라’나 최근 전염성이 급격히 높아진 ‘A형간염’같은 경우, 백신을 들여오기도 전에 국민들은 속수무책으로 전염병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국산백신이 있는 전염병은 장티푸스, B형간염 등 7개 전염병이며, 국산백신만으로 예방접종이 가능한 것은 신증후군 출혈열과 두창백신 2가지인 것으로 파악됐다.
원희목 의원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지난해까지 총 40억을 투자해 면역백신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기존 전염병 백신도 계속 필요하고 신종전염병 대비를 위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백신주권 확보를 강조했다.
한편 양승조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민주당 의원도 국감에서 백신안보 확보를 강하게 촉구하면서 “국가가 필수적인 의약품을 ‘퇴장방지의약품’으로 지정하면, 그 의약품을 제조하는 업체에 지원을 할 수 있다”며 “백신 생산의 경우에도 퇴장방지의약품 지정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퇴장방지의약품 지정제도는 저가 필수의약품의 퇴출방지 및 생산 장려를 위해 장관이 지정하는 것으로 정부는 생산원가 등을 지원해 항상 환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