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응급의료기관
시설·인력 기준 미달
지역 응급의료체계의 근간인 지역응급의료기관의 시설과 인력이 기준에 미달하는 ‘무늬만 응급의료기관’이 상당수인 것으로 나타나 지역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원희목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한나라당 의원이 지난 18일 국정감사를 통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전국 322개 지역 응급의료기관 가운데 시설과 인력, 장비 3가지 기준을 모두 갖춘 기관은 36%인 116곳에 불과했다.
특히 18.6%에 해당하는 60곳은 3가지 기준을 하나도 충족하지 못해 응급의료기관으로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개 기관은 응급의료기관임에도 불구, 24시간 근무하는 의사가 한 명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고, 심지어 3곳은 인공호흡기조차 갖추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응급환자 진료구역이 없는 곳은 25곳, 검사실이 없는 곳은 17곳, 처치실이 없는 곳은 19곳으로 나타나 정부의 지역응급의료기관 관리가 허점투성이인 것으로 드러났다.
원 의원은 “지역 응급의료기관의 부실은 곧 응급의료체계가 풀뿌리부터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해당 지자체와 정부는 최소한의 기본적인 응급의료 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일해 기자 jih@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