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 장애’ 환자 급증
70대 이상 증가율 최고
불안 장애질환 환자수가 최근 8년간(2001~2008년) 1.5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형근)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지난 2001년부터 2008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불안장애질환’의 실진료 환자수가 2001년 26만8천명에서 2005년 31만8천명, 2008년 39만7천명으로 분석됐다.
성별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남성이 14만2천명, 여성은 25만5천명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1.8배가 많았다.
연령별로는 50대 실진료환자가 8만3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40대 8만1천명, 60대 7만명, 30대 5만2천명, 70대 5만2천명 순이었다.
특히 70대 이상 연령층에서의 증가율이 두드러져 70대는 136%, 80대 이상은 185%로 나타나 전체 연령대 증가율인 48%보다 큰 폭의 증가율을 보였다.
‘불안장애’로 의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1년 3백90억원에서 2005년 5백1억원, 2008년 7백93억원으로 나타났다.
‘불안장애’ 질환의 상병별 건강보험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상세불명 불안장애’(15만명), ‘혼합형 불안 우울장애’(10만명), ‘전신 불안장애’(6만9천명), ‘공황장애’(4만5천명) 순이었다.
이밖에 사회공포증(1만4천명), 광장공포증(3천명), 특수한(고립된)공포증(1천명)의 실진료환자가 있었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