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Seminar Point] 2009 Zimmer Dental Day Salama 형제 강의

관리자 기자  2009.11.05 00:00:00

기사프린트

Seminar Point   2009 Zimmer Dental Day Salama 형제 강의

 

심미 임플란트 치료 기본 요소 ‘눈길’

 

2009년 Zimmer Dental Day 세미나가 10월 25일 일요일 서울 그랜드 힐튼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6개의 큰 주제로 진행된 Salama 형제의 강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심미적인 임플란트 치료시 중요한 사항은 integrated therapy이다. 아름다운 미소를 얻기 위한 기본 요소들에는 정중부의 대칭성, 치은의 조화, 상순에 대한 치은의 관계, 하순에 대한 incisal edge의 관계, golden proportions, negative space/buccal corridor, tooth display at rest, shade & texture, restoration 등이 있다.


상악 전치부에서 골결손부는 Type 1-3으로 분류할 수 있다. Type 1 site는 이상적인 골결손부로 보존이 그 목표로, tissue profile과 색의 조화를 창조한다. Type 2 site는 순측에 결손부가 발생한 경우이며, Type 3 site는 interproximal/vertical defect를 의미한다.


상악 전치부에서 심미적인 결과를 얻지 못한 경우는 대부분 진단의 실수에서 비롯되며, 그 외에 비현실적인 기대 등이 있다. integrated therapy를 위한 철학을 이루기 위해서 술자는 심미적인 치료에 필요한 요구조건들을 진단하는 것이 필요하며, Type 1 site를 보존하거나 만들기 위한 치료법을 생각하고, smile design의 원칙의 범위내에서 모든 목적을 통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심미적인 치료시 재건술의 중요한 진단 가이드라인은 biotype, space/proportions의 분석, 치은의 조화, labial plate, bone의 interproximal height가 있다. 


상악 전치부에서 임플란트 식립후 남아있는 순측 골은 2mm, 연조직의 두께도 2mm가 필요하다. 상악 전치부에서 연조직 증강을 위해 상악 최후방 구치부 치조제 치은에서 치은을 채취한 후 상피를 제거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13mm의 잔존골이 필요하다. 잔존골의 높이가 7~12mm인 경우에는 GBR/ridge split, interpositional graft, DO를, 4~7mm인 경우에는 appositional bone block (J block 등), 4mm 미만인 경우에는 해결책이 많지는 않다.


블록형 자가골을 대체할 수 있는 방법에는 BMP-2 ACS가 있다. BMP-2를 collagen에 넣고 Puros, Titanium mesh, collagen막의 순서대로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했다.
Fiorellini 등 (2005)의 보고에 의하면 발치와에 1.5mg ml rhBMP-2는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더 많은 골 증강을 보였으며, 임플란트 식립은 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나 placebo보다 2배 더 빨랐다고 보고하였다. 즉 PRGF를 이용한 치료는 더 나은 상피화와 더 우수한 골재생효과를 보였다고 결론을 지었다.
healing abutment는 처음에는 작은 직경을 사용한 후 약 8주후에 큰 것으로 교환한다. abutment의 선택은 치은에서 치근단 방향으로 치은의 두께를 본다.
 
그 외에 몇 가지 사항들은 다음과 같다.
·연조직은 골에 의존한다.
·integrated therapy의 성공을 이루기 위해서는 과학, 수술, 보철, 기공, 기구 등간의 synergy가 중요하다.
·발치와의 처리시 중요한 사항은 비외상적인 발치에 있다.
·unibody implant 식립시 temporary cap이 필요하며, 임플란트는 치은연 하방 1-1.5mm에 위치시킨다.


김수관
 <조선대 치의학전문대학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