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복 교수의 지상강좌
연재순서
I. 다양한 표면처리와 테세라의 결합
II. 테세라를 이용한 자연치아 심미보철
III. T-table core design과 임플란트 보철
IV. 테세라를 이용한 임플란트 전악보철
임상적으로는 임플란트 보철 수복 재료로 흔히 gold나 PFG 가 많이 쓰이고 있으나, 심미성과 repair 등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indirect composite으로 수복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이들 indirect 시스템도 다소 개선된 물리적 성질은 가지지만, 진공, 압력 등의 이용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기포의 잔재로 인해 수복물의 기능이나, 내구성, 물성, 심미성에 마이너스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제조사들마다 다양한 보강 구조들로 강도를 높인 제품을 연구하게 되었는데, 제조사에 따라 Ceromer, Polyglasses, Polycerams, FRC, Laboratory composite 등 각기 다른 명칭들을 사용하고 있다.
Fiber reinforced composites(FRCs)의 특성을 살펴보면, 시간과 비용이 적게 들고 긴 metal 구조물들의 section과 solder가 불필요하며, 특히 포세린과 비교시 수리가 용이하고, 대합치의 마모를 줄이 수 있으며, metal alloy 와 비교시 금속이온의 독성과 부식의 염려가 없음은 이미 연재 2편에서 설명한 바 있다.
이런 특성을 가진 강화형 composites 중에는 Sinfony, Sculpture/ FibreKor, Belleglass HP, Targis Vectris, Tescera ATL 등이 있다. 이들 복합레진은 도재에 비해 취성이 적고, 반대악궁이 무치악인 경우 의치를 마모시키지 않고, 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Belle Glass HP는 광중합 후에 압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이미 기포가 생성된 후 이기 때문에 압력으로 기포를 제거할 수 없으며, Sinfony, Sculpture/ FibreKor는 진공을 이용하는 방법이 기포 제거에 효율적이지 못하다고 알려져 있다.
Tescera ATL은 제작시 열, 압력, 빛을 수중에서 동시에 중합에 이용하여 기포생성을 방지하고 산소 방해층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은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러한 제작과정 때문에 자연치아 법랑질 수준의 강도와 마모도를 재현할 수 있는 Tescera ATL (BISCO, USA)은 지난 5년간 T-table core design(2004, Leesungbok)과 함께 파절율을 10% 미만으로 유지할 수 있었기에, 실제 임플란트 보철에 적용하는 과정 및 임상예를 이 지면을 통하여 보여드리고자 한다. (사진1~32)
<임플란트 테세라 보철 제작과정>
1. 반드시 full contour wax-up을 해야 하는데(사진1~3), Tescera 의 두께를 2mm 이상 확보하고 교합력에 충분히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T-table을 제작하기 위해 putty index를 미리 만들어 두면 나중에 cut-back할 때 편리하다.
2. Tescera resin build-up을 위해 T-table형태로 cut-back한 사진이다(사진4, 5).
3. Casting하여 나온 금속 구조물을 Trimming을 한 후 degassing 한다(사진6, 7).
4. 먼저 포세린 opaque 처리를 시행한 후에 sand blasting한다(사진8~10).
5. 도재 opaque 표면의 산부식은 보통 안전을 위하여 4% 불산으로 6분 동안 시행하는데, 기공실 작업에서는 시간을줄이기 위하여 9~10% 불산을 사용하기도 한다. etching한 후 깨끗하게 수세한다(사진12).
6. 다음 도재용 silane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resin bonding제를 도포한다(사진12, 13).
이렇게 하여 비로소 도재오팩 위에 광중합레진의 적층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escera ATL을 도재 오팩층 위에 화학적 처리를 하거나 기계적 처리를 한 경우 다른 처리군들보다 높은 결합 강도를 보이며, 레진 파절시 금속색을 차단하는 오팩층이 많이 남아 있어서 수리하기가 수월하고(사진31, 32) 레진의 두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더욱 심미적인 수복물을 만들 수 있는 것 같다.
7. Resin build-up은 dentin, body, incisal(translucent) 순으로 적층하며, 각 단계마다 광조사와 ATL과정(Light cup+ Heat cup)을 반복적으로 시행해야 한다(사진14~25).
8. incisal(translucent) 층까지 적층과 중합이 완료되면 외형을 다듬고 Polishing과정을 시행한다. 최종적으로 도재용 polishing rouge를 Robinson brush에 묻혀 기계적으로 polishing하여 완성한다(사진26, 27).
<결론>
인공장기로서의 치아보철물은 장기간 우수한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지녀야 한다. T-table core는 PFM용의 non precious metal을 사용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long span 금속구조물로 제작하여도 무게가 가볍고 견고하므로 최종 보철물의 기능시 파절을 방지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라는 장점이 있다(사진28~32).
그러나 이들 강화레진들은 심미적 축조를 위한 기공실 작업이 다소 technique sensitive하기 때문에 T-table core의 제작에서부터 레진의 적층과정에 이르는 특별한 공부와 훈련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사진설명
<그림 1> 스크류타입 임플란트 어바트먼트
<그림 2> Plastic waxing sleeve
<그림 3> 반드시 full contour wax-up이 필요하다.
<그림 4> T-Table core design
<그림 5> Cut-back하여 T-table core형태가 완성된 모습
<그림 6> PFM용 금속으로 주조하여 완성된 T-table core
<그림 7> Porcelain furnace에서 degassing 한다.
<그림 8> Porcelain opaque layering
<그림 9> Porcelain opaque coloring
<그림 10> Porcelain opaque표면을 Sand blasting하여 표면거칠기를 부여한다.
<그림 11> HF acid(4%, 9%, 10%)로 etching한다.
<그림 12> Porcelain Primer를 1회 도포하고 건조한다.
<그림 13> Bisco One-step bonding제를 도포하고 광중합한다.
<그림 14> Tescera Composite의 layering 순서; Dentin-Body-Incisal
<그림 15> Tescera Dentin layering
<그림 16> 1차중합; 60psi 압력하에서 광중합한다.
<그림 17> 1차중합; Light cup내에 위치한 모습
<그림 18> 2차중합; 60psi 압력하에서 수중중합한다.
<그림 19> 2차중합;수중중합시 표면 미반응층을 방지하기위해 Oxygen Scavenger를 Heat cup에 한숫갈 첨가한다.
<그림 20> 2차중합;수중중합을 위해 Heat cup에 위치한 모습
<그림 21> Tescera Composite표면을 Sand blasting하여 표면거칠기를 부여한다.
<그림 22> Body layering을 위해 다시 One-step bonding제를 1회 도포하고 광중합한다.
<그림 23> Body layering
<그림 24> Body layer의 1차중합; Light cup에서 60psi 가압 광중합한다.
<그림 25> Body layer의 2차중합; Heat cup에서 60psi 가압 수중중합한다. 사진20~24의 과정은 각 layer마다 반복되어야 한다.
<그림 26> 중합이 완료된 Tescera ATL restoration의 연마기구
<그림 27> 기계적 연마가 완료된 Tescera ATL retoration
<그림 28> 하악 구치부 임플란트 Tescera ATL retoration증례
<그림 29> 하악 구치부 임플란트에 Tescera ATL retoration 2개가 스크류로 고정되었다.
<그림 30> Screw hole을 광중합 레진으로 채워서 완성한다.
<그림 31> Tescera ATL retoration은 파절되어도 도재오팩층이 그대로 남아있으므로, sand blasting 및 불산부식 처리 후 쉽게 repair가 가능하며 이것이 도재수복물보다 유리한 점이다.
<그림 32> 기공실에서 파절면을 sand blasting 하고 불산부식 후 간단하게 repair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