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이성복 교수의 지상강좌] 테세라를 이용한 자연치아 심미보철

관리자 기자  2009.11.02 00:00:00

기사프린트

테세라를 이용한 자연치아 심미보철

 

연재순서


I. 다양한 표면처리와 테세라의 결합
II. 테세라를 이용한 자연치아 심미보철
III. T-table core design과 임플란트 보철
IV. 테세라를 이용한 임플란트 전악보철

 


레진 접착 고정성국소의치는 치질 삭제를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상실된 치아의 보철을 할 수 있다는 특성 때문에 기존의 full veneer crown/bridge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레진 접착 고정성국소의치는 5년 성공률이 76%로 보고되어 있다. 레진 접착 고정성국소의치 실패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도포 시멘트로부터 주조 금속 구조물이 분리되는 것이다. 또한 법랑질 표면으로부터 시멘트가 분리되는 것도 보고되고 있다. 도포 시멘트로부터 주조금속 구조물이 탈락되는 이유는 주조 금속합금의 표면 처리와 주조금속 구조물의 견고성과 관련이 있다.


치아는 기능할 때 미세한 움직임이 있다. 이것이 금속 구조물과 레진 시멘트 계면에서 압축, 인장 응력을 반복적으로 가져온다. 반복되는 응력은 접착 부위에서 피로로 인한 실패를 가져오기 쉽게 한다는 것이다. 탄성계수가 조정된 재료로서 섬유-강화 복합레진(Fiber-reinforced Composites: FRCs)이 있다. FRCs 는 일반적인 치과 기공실에서 기존의 full veneer crown/bridge보다 훨씬 쉽게 제작될 수 있다. 단순히 결손부 보철과 동요치아 고정을 위해 치질 삭제를 하지 않은 경우 FRCs 는 표면-유지 접착 날개(surface-retained bonding wings) 디자인으로 치표면에 접착할 수 있다(그림 1-1~5). 지대치의 접착면은 퍼미스로 세마하거나 샌드블라스팅한 후 37% 인산액으로 산부식한다.


유리 섬유 구조물(그림 1-2)은 열가소성 중합체가 미리 주입되어 있고 silane으로 처리되어 있다. 유리 섬유 강화는 일반적으로 흐름성이 좋은  광중합 flowable resin(Bisco, USA)으로 풀 매기듯이 적셔서 제1층을 형성한다. 그 이후 Dentin, Body, Incisal Composite순으로 layer build-up하고, i)Light cure tank에서 60psi압력하에서 광중합하고, 다음 곧바로 ii)Water tank에서 동일 압력하에 열중합하는데, 각 layer를 적층할 때마다 One-step bonding을 도포하고 적층한 후 동일하게 이 과정을 시행해야 기포를 방지하면서 치밀구조를 획득할 수 있다. 구조물은 최종 형태로 마무리된다.


이 제작과정은 테세라 라미네이트(그림 2-1~9), 테세라 심미크라운(그림 3-1~4), 그리고 임플란트 심미크라운(그림 4-1~4)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부분적 혹은 전체적인 FRCs 의 탈락과 보철구조물의 파절은 치료의 실패로 간주된다. 임상적으로는 (1) 지대치의 수, (2) pontic의 수, (3) 고정성 보철의 종류, (4) 전치부 또는 구치부, (5) 상악 또는 하악 등과 같은 변수를 평가하고 있는데, 지난 5년 간의 임상 연구는 FRCs 가 단기간 평가 시 그 기능이 양호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적은 수의 FRCs 가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렇게 크기가 작은 표본에 의한 결과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큰 신뢰를 얻기 어렵지만, 흥미있는 임상적  관찰을 진행할 수 있었다.

반투명한 FRCs 구조물을 갖는 고정성 국소의치의 심미성은 치과의사에 의해 객관적으로 입증된 것처럼 금속구조물을 갖는 고정성 보철보다 우수하다. 게다가, 지대치의 순측, 협측면에 FRCs 의 연장된 접착 날개로 인하여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것은 FRCs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요약


제한적 임상적용 범위 안에서, 레진 접착 유리섬유 강화 복합레진 (glass fiber reinforced composites; FRCs) 고정성국소의치는 5년간의 임상 검사 기간동안 적절한 기능을 하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강화형 압축 Composite Resin은 (1) 심미적으로 도재와 유사하며, (2) 파절 발생시 수리가 용이하며, (3) 도재와 같은 소성과정이 생략되어 금속구조물의 변형이 없으며, (4) 자연치 법랑질과 유사한 마모강도 (5) 자연치와 임플란트 보철물 사이의 접촉점 추가수정의 용이, (6) 기공과정의 편리함 등, 기존의 도재 보철물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해 주는 한가지 대안으로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사진설명

 


 
<그림 1-1> 하악 좌측견치 결손으로 내원한 91세 할머니.

 


 
<그림 1-2> 유리섬유 (Bisco.USA)

 


 
<그림 1-3> 동요치 연결고정용 접착브릿지(유리섬유+Tescera ATL).

 

 


 

<그림 1-4> 접착브릿지(유리섬유+Tescera ATL)의 2년 경과한 협측 모습.


 
<그림 1-5> 접착브릿지(유리섬유+Tescera ATL)의 2년 경과한 교합면 모습.

 


 
<그림2-1> 하악전치부 심미치료를 위해 내원한 73세 여성.

 


 
<그림2-2> 하악전치부에 오래된 레진수복 흔적이 남아있다.

 


 

<그림 2-3> 라미네이트를 위한 치아삭제 및 IDS처리.

 


 


<그림 2-4> 임시라미네이트의 1주 경과 모습.

 


 
<그림 2-5> Tescera ATL 라미네이트 완성품.

 


 

<그림 2-6> Tescera ATL 라미네이트.

 


 
<그림 2-7> Tescera ATL 라미네이트의 접착.

 


 
<그림 2-8> Tescera ATL 라미네이트 접착 후  3년 경과된 모습.

 


 
<그림 2-9> Tescera ATL 라미네이트 접착 후  3년 경과된 설측 모습.

 


 
<그림 3-1> 유리섬유 보강 및 layer build-up으로 완성된 테세라 크라운.

 


 
<그림 3-2> 테세라 크라운의 설면 모습.

 


 
<그림 3-3> 테세라 크라운 접착 직전의 상악 좌측측절치 지대치.

 


 
<그림 3-4> 상악 좌측측절치에 테세라 크라운이 레진 접착되었다.

 


 
<그림 4-1> 임플란트와 자연치의 복합증례.

 


 
<그림 4-2> 완성된 테세라 심미크라운.

 


 
<그림 4-3> 테세라 심미크라운의 접착 직전 모습.

 

 


 
<그림 4-4> 테세라 심미크라운 접착후 2년 경과된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