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미백제·방사선발생장치 검사 수수료’ 논의
자재·표준위원회
자재·표준위원회가 지난달 27일 위원회를 열고 무허가 치아미백제와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 검사 수수료 문제 등 2009년도 주요 현안사업과 2010년 사업 계획을 검토하는 자리를 가졌다.
치협 자재·표준위원회는 올해 검찰이 무허가 치아미백제 유통 조사에 착수했다는 소식을 입수한 가운데 회원들에게 피해가 돌아갈 것을 우려,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허가 받은 13개 치아미백 제품명을 확보해 관련 리스트를 치의신보와 치협 사이트 등을 통해 적극 홍보하면서 이외의 무허가 제품 사용을 자제 할 것을 회원들에게 적극 당부해 왔다.
이와 관련 김종훈 자재·표준이사는 “현재까지 검찰 조사 시행으로 인해 문제된 사항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면서 “앞으로도 회원들이 무허가 제품을 사용해 불이익을 당하는 일이 없도록 지속적으로 주의를 당부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 이사는 또 “고농도 치아미백제 사용과 관련해 식약청이 단순히 위험하다는 이유로 사용을 제제하고 있는데 이는 잘 컨트롤만 하면 문제가 없다고 본다. 미국 FDA 등에서는 이미 허가 받은 제품이 있다”면서 “향후 식약청 치과의료기재시험연구원 등을 통해 고농도 치아 미백제 사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해 전문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최대 이슈가 됐던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 검사 수수료와 관련해서는 치협과 서울지부가 많은 노력을 기울인 끝에 일정부분 수수료 인하를 이끌어 냈지만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치협과 서울지부가 서로 협조해 독립된 자체 검사기구 설립을 지속 검토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 동시에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 기관들과 검사 수수료 재인하를 위한 협상도 지속 추진키로 했다.
이날 자재·표준위원회에서는 또한 제47회 치협 종합학술대회 기자재전시회가 내년 4월로 다가옴에 따라 남은 기간 동안 만반의 준비를 하기로 했으며 위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협조키로 했다.
우종윤 자재·표준 담당부회장은 “올해 진단용방사선발생장치 검사기관이 4개 기관으로 축소되면서 검사 수수료가 인상돼 회원들이 고충이 따르자 자재·표준이사 등이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검사 수수료를 일정 부분 인하해 냈지만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면서 “앞으로 좀더 노력해 달라. 더불어 내년 학술대회 전시회도 차질 없이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