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은 교수의 지상강좌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진단 및 치료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임상 가이드라인
(AASM Clinical guideline for OSA)
‘수면호흡이상(sleep-disordered breathing, SDB)’으로 분류되는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근육 톤의 감소로 인해 pharyngeal airway가 협착되어 발생한다. 즉, 코골이는 기도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고 협착된 경우에 발생하며, 협착이 더욱 심해져 폐쇄가 되면 ‘수면무호흡’이 일어나게 되므로, OSA 환자의 거의 100%에서 코골이가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폐쇄성 무호흡증으로 인한 수면 중 잦은 각성(arousal)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졸음, 피로, 집중력 저하 같은 주간 증상을 유발하여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심폐질환 발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다.
지난 연재에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진단과 치료에 대해 다루었는데, 이번 호에서는 2009년에 발표된 미국수면의학회(Th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AASM)의 임상 가이드라인을 살펴봄으로써 진료실에서 OSA로 의심되는 환자를 만났을 때 어떤 순서로 진단과 치료를 진행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 보기로 하자.
1. 배경
AASM은 문헌들의 연구결과를 검토하여 OSA의 진단과 치료에 관한 진료지침(Practice Parameter)을 5년마다 발표한다. 그러나 진료지침이 전반적인 치료흐름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므로 2007년The Adult OSA Task Force을 결성하여 2009년에 성인 OSA 환자 치료에 대한 포괄적인 임상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다.(Epstein et al, 2009)
AASM 임상 가이드라인은 OSA 평가와 진단, 치료법, 및 장기적인follow-up에 대한 내용전반을 다루고 있는데, 2006년 AASM의 evidence-based practice parameter(Morgenthaler et al, 2006)를 토대로 만들어졌으며 practice parameter에서 다루지 않았거나 자료가 부족한 사안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의 합의를 통해 입장을 정리하였다. AASM 임상 가이드라인은 성인 OSA환자의 치료 표준을 확립하고, 치료결과를 향상시키며, 환자에게 보다 안전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2. OSA 진단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진단과정을 통해 OSA를 확진 하고 질병의 심도(severity)를 파악하는 것이 가장 선행되어야 한다.
(1) 간이평가 (Screening)
진료실에서 일상적으로 시행하는 전신건강 평가, 환자가 호소하는 OSA 증상, OSA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여부를 파악하여 수면장애 증상을 가진 환자를 찾아내는 것으로 OSA 진단과정이 시작된다.(그림 1)
전신건강 평가에서 OSA와 관련하여 관심을 가져야 할 소견은 비만, 하악후퇴증, 주간의 졸음, 코골이 및 고혈압의 유무이다. OSA의 존재를 의미하는 증상은 코골이, 졸음, 피로 등인데 표1에 제시되어 있다. OSA 고위험군은 (1)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35 kg/m2를 넘는 비만인, (2) 울혈성 심부전, 심부정맥, 난치성 고혈압 등의 심혈관질환자, (3) 2형 당뇨병 환자, (4) 뇌졸중 환자 (5) 고위험 운전자(예, 트럭운전사) 등이다.
(2) 포괄적 평가 (Comprehensive evaluation)
간이평가에서 수면장애의 증상이 존재한다면(그림 1), 정확한 OSA진단을 위해 수면과 관련하여 포괄적인 병력조사와 신체검사를 시행한다.(수면평가) 수면병력조사에서는 표1의 OSA 증상 유무를 확인해야 하고, 신체검사에서는 호흡기, 심혈관, 신경계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OSA로 판단되면 질병의 심도를 알기 위해 객관적인 검사, 즉 이를 ‘수면검사(sleep study)’를 해야 한다. 수면검사는 크게 수면검사실에서 수행하는 수면다원검사 (polysomnography; PSG)와 휴대장비를 이용하여 집에서 할 수 있는 간이수면검사(home testing with portable monitor; PM)로 나눈다.(그림 2)
수면검사 결과는 전문가 분석이 필요하며 검사결과에서 AHI(무호흡-저호흡 지수)가 15이상이거나, AHI 5이상이면서 OSA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에는 환자교육을 시행하고 치료를 논의하도록 한다.(그림 3)
3. 환자 교육
환자 교육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환자의 수면검사 결과와 OSA 심도를 설명한다.
·OSA의 병태생리, 위험인자, 임상경로, 예후, 합병증을 설명한다.
·OSA의 다양한 치료방법을 설명하고 장단점을 알려준다.
·치료목표를 설정하고, 치료에 있어서의 환자 협조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설명한다
·OSA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졸음운전의 위험성과 조절방법에 대해 상담한다.
<17면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