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류재준 교수의 지상강좌]수면질환의 역학조사

관리자 기자  2010.02.22 00:00:00

기사프린트

류재준 교수의 지상강좌

 

대한치과수면연구회 연재순서

1. 수면질환에서 치과의사의 역할 /정성창 교수
2.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진단 및 치료법 분류 /정진우 교수
3.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환자의 Clinical Guideline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김미은 교수
4.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의 pathophysiology -anatomic disorder vs neurologic      disorder /김명립 원장
5. 수면질환의 역학조사 /류재준 교수
6.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다양한 구강내장치 소개 및 개원가에서의 적용 /송윤헌 원장
7. 구강내 장치의 작용기전 및 치료효과 /김현철 원장
8. 구강내장치 장착시 있을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 /안형준 교수


 

 

이런 질문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코골이! 잠만 잘 자는데 무슨 문제 있나요?
코골이는 말 그대로 코를 고는 것입니다. 코골이 자체는 시끄러울 뿐이지 본인에게 해가 되지는 않습니다. 물론 주위사람에게는 해가 되지만… 그러나, 코를 골다가 갑자기 숨을 안 쉬게 되면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이런 병이 바로 수면무호흡 입니다.
자다가 숨을 안 쉬면 어떻게 될까요?


다행히도 숨을 안 쉬는 시간이 그리 길지는 않고 곧 다시 푸~~하고 숨을 크게 한번 몰아 쉰 후 호흡을 다시 시작하게 됩니다. 이러한 일이 매일 밤 되풀이 되면 어떻게 될까요?
낮 동안 심한 졸음과 피로함을 느끼게 되며 종종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장기간 이러한 이상이 계속될 경우 심장이나 폐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켜서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증 등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이번 회에서는 수면질환의 역학조사에 관한 1993, Terry Young1)과 2008, Punjabi3)의 논문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유전체연구소의 한국인 역학조사2)를 포함하여 정리해 보고자 합니다.
우선 의료보험에서 수면무호흡증후군의 급여기준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급여기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면무호흡 시 전신적인 합병증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논문에 들어가기 전에 앞에서 나왔겠지만 수면무호흡의 정의를 다시 한번 알아보고 논문 Review에 들어가겠다.


미국 수면의학회(AASM 2007)는 무호흡을 3등급으로 나누어 무호흡지수가 5-15는 경증, 15-30은 중등증,  30이 넘는 경우는 중증으로 분류한다.

중년 성인에서 수면호흡질환의 발생에 관한 논문이 Wisconsin Sleep Cohort Study의 데이터를 조사하여 1993년에 나왔다. (수면역학조사의 첫 Original논문이다.)1)
여기에서는 30-60세 성인남녀 대상으로 602명의 Random sample을 조사하였다.
Table 1에서 보면 Habitual Snorer는 남녀 모두 A.H Score가 15 이상인 경우가 많았지만 Mild Sleep disoredered breathing (5≤<15)의 비율은 여성에서만 더 높았다.


Table 2에서 보면 측정된 수면호흡질환 이환율(≥5)은 여성-9%, 남성-24% 이었다.
이 결과는 대상자가 근로자로 일하지 않는 사람보다 건강하기 때문에 재평가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남성과 비만이 수면무호흡질환과 강한 연관성을 갖고 있음을 알려주고 비만은 수면호흡질환의 중요한 Risk Factor 임을 알려준다.
진단되지 않은 수면호흡질환의 이환율은 남성에서 더 높으며 이전에 여성들에게 추정되었던 것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004년 고려대학교 유전체 연구소에서 한국 중년남녀에서의 Sleep-disordered Breathing(SDB)의 유병율에 관한 논문이 나왔다.2) 40~69세 한국 성인으로 457명의 Random Sampling되어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였다.


SDB=AHI  5이상
OSAS=SDB+EDS 로 정의 하였고
EDS는 낮동안의 심한졸음으로 3개의 질문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되었다.
SDB의 유병률은 남성과 여성에서 각각 27%, 16%
OSAS는 남성과 여성에서 각각 4.5%, 3.2%로 나왔다. 회귀분석결과는 성별,  비만도 고혈압이 SDB의 위험도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여주었고 이 연구는 SDB가 한국성인에서 흔한 문제임(남성 27%, 여성 16%)을 보여주었고 의학적 문제와 관련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Sleep-disordered Breathing(SDB)의 이해와 치료가 필수적인 것으로 보인다.


2008년 성인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역학조사란 논문이 나왔다.3) 이것은 역학적인 측면에서의 Review논문이다. 1990년대 이후 나온 역학조사결과를 Table 5에 정리하였다.
체중변화는 질병의 진행과 감소의 중요한 결정인자로서 체중 10% 증가시 AHI 32% 증가하고 체중 10% 감소 시 AHI 26% 감소하였다.
여러 논문들에서 나온 수면무호흡의 위험요소는 아래와 같다.
 
중증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에서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약 12년 후 사망률이 17% 정도로 매우 높게 알려졌으며 또한 적절한 치료 시 정상과 비슷한 정도로 사망률이 감소되는 것이 보고 되었다. 또한 수면무호흡은 심장질환, 고혈압, 허혈성 신장질환, 심부전증, 페질환, 뇌경색, 신경장애, 정신장애, 내분비장애, 위식도 역류의 악화, 야뇨증 단백뇨의 발생을 일으키기도 한다.


 수면무호흡증의 3대 주증상은 심한 코골이, 수면무호흡, 낮의 졸림증 이다. 수면무호흡은 소아에서 10%, 성인에서 20~30%정도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고, 문제가 있는 코골이는 충분한 수면을 취해도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전신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치료하여 삶의 질을 높여야 하겠다.
여기에 우리 치과의사가 동참할 수 있습니다.
치과에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합시다.

 

References
1. Terry Young : The Occurr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among Middle-Aged Adults. N Engl J Med 1993;328:1230-1235
2. JinKwan Kim : Preval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4;170:1108-1113
3. Naresh M. Punjabi : The Epidemiology of Adult Obstructive Sleep Apnea. Proc Am Thorac Soc 2008;5:136-143

 

 

류재준 교수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 대학원
  심미수복학과 주임교수
·대한치과보철학회 이사
·(가칭)대한심미치과학회 부회장
·치과수면연구회 이사

           수면질환의 역학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