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내 치과의원
DUR 시범사업 참여 18% 불과
치과의료기관이 처음으로 포함돼 제주도에서 시범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DUR 시범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치과의원이 1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제주도내 의원의 DUR 시범사업 참여율이 지난해 12월까지 53개(19%)에 불과했으나 올 1월 한달간 151개(51%) 기관이 새로 참여해 전체 290개 기관의 70%에 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치과의료기관은 140개소 가운데 25개 치과의원만이 참여해 18%의 낮은 참여율을 나타냈다.
국민들의 의약품 사용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DUR(의약품 처방·조제 지원시스템) 제도는 의사·약사가 처방·조제 내역을 컴퓨터에 입력하면 심평원 중앙 서버에 누적된 환자의 조제 기록을 통해 금기 및 중복약물이 점검돼 실시간으로 모니터 상에 띄워지게 돼 의약품 처방·조제 단계에서 실시간으로 중복 처방 여부 등을 점검할 수 있다.
심평원 DUR 사업단 관계자는 “치과의 경우 처방전이 수시로 발생하지 않고 처방되는 약제도 몇가지에 불과에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은 것 같다”며 “번거로운 점이 있지만 중복처방 및 금기약 사용 예방 등 국민들을 위해 필요한 사업이므로 적극 참여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 관계자는 “제주도의 경우 대부분이 한 회사의 청구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며 “협조만 잘 되면 앞으로 참여하는 치과가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심평원은 DUR 사업이 올 하반기 전국으로 확대되기 전까지 제주도에서의 시범사업을 계속 진행할 방침이다.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