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김현철 원장의 지상강좌]구강내 장치의 작용기전 및 치료효과 2)

관리자 기자  2010.03.01 00:00:00

기사프린트

김현철 원장의 지상강좌

 

<28면에 이어>


구강내 장치의 작용기전 및 OSA(폐쇄성수면무호흡증)
환자에 대한 치료 전후 비교   2)

 

마지막으로 제 임상 케이스를 몇 편 올려드리겠습니다.

제가 임상에서 MAD를 사용하면서 느낀 점은 아주 특별한 금기증(central Sleep apnea, Chronic lung disease, Nocturnal asthma, 심한 이갈이, 턱관절환자, nasal obstruction)이 있는 환자를 제외하고는 mild, moderate, severe한 OSA 환자의 대부분에서 코골이와 무호흡증이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이것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환자에게 치료 전후의 변화된 점을 설문(ex)Epworth Sleepiness Scale, ESS)을 통해서 점수화 하거나 같이 잠을 자는 부인이나 가족이 평가하여 제3자가 변화된 점을 평가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OSA 환자 본인이 확인할 수 있고 MAD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좀더 객관화된 자료 및 report가 가능한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여기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측정기는 간이 다원수면검사기(Polysomnography, PSG)입니다.


일반적인 수면검사의 경우 이비인후과나 수면센터에 1일 입원하여 EEG(뇌파검사), EOG(눈운동검사), ECG(심전도), EMG(근전도), air flow, respiratory effort, 산소포화도, 맥박, body position등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를 부착하고 수면중 모니터링을 하게 되는데 이는 EEG, EOG를 통하여 Sleep stage를 시간흐름에 따라 측정하고 뇌파의 할성도를 기록해 수면의 질을 파악할 수 있고 그 밖의 측정기는 기도를 통한 공기 흐름정도, 산소유입정도, 수면중 신체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나 입원을 해서 모니터링을 받아야 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비해 간이 수면 검사기(그림 5)는 환자분이 수면검사기의 사용법을 간단히 배운 후 포터블 검사기를 본인 집으로 가져가서 검사기를 장착하고 nasal cannula와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손가락에 붙이고 수면을 취하고 난 후 다음날 다시 병원에 반납하면 기기의 메모리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검사결과가 자동 분석되어(그림 6 상단) AHI(Apnea Hypopnea Index) ODI(Oxygen Desaturation Index, 산소포화도, 맥박, snoring 횟수, air flow등이 비교적 정확한 데이터로 보고되고(그림 6 하단) 상단의 risk indicator를 통해 환자가 본인의 현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치과에 내원한 코골이 환자 초진시 MAD를 제작하기전 위의 수면다원 검사기로 수면검사를 하고 MAD를 장착한 후 다시 수면 검사를 하여 장치 장착 전후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환자에게 보여준다면 갠관적인 분석에 의한 코골이 방지 장치의 치료효과에 대한 환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간이 다원수면검사기(PSG)는 입원하는 lab attending 정밀 검사기에는 있는 EEG, EOG, ECG, EMG등이 없어 수면의 질, 수면중 뇌파 각성(arousal), MAD장치가 효과가 없는 중추성 수면무호흡증(central sleep apnea)의 진단은 어렵지만 nasal cannula를 통한 기도내 air flow, 저항성, 코골이 횟수, Apnea, hypopnea, 측정이 가능하고 산소포화도 및 맥박수 변화도 체크할 수 있어 증등도 이상의(AHI 15이상) OSA 환자는 92%이상의 정확도를 가지고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치과의원에서 쓰기는 무리가 없는 듯 합니다.


이런 PSG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면 또 다른 방법으로  lateral cephalometric view를 이용하여 MAD의 장착 전, 후 각각에 방사선 측면두부촬영을 하여 기도의 전후방 거리를 측정, 비교하는 방법으로 국가마다 연구그룹마다 다양한 측정점 (그림 7)이 있는데 주로 경조직부위를 기준점으로 정하고 측정하는데 그 중 하나로 제 2, 3각 경추골의 상방 angle, 중앙, 기저부 전면의 후방인두벽 point 에서 palatal plane에 평행으로 선을 그어 기도 전방벽까지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제로 MAD 장착시 기도 확장은 기도의 전후방 확장보다는 측방 확장이 많이 일어나므로 CT 촬영이 아닌이상 두부측면 촬영에서는 기도의 전후방 거리측정 밖에 안되므로 환자마다 OSA개선 정도와 전후방 기도 확장 정도가 비례하지 않고 부정확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은 측면두부촬영에서 제3경추 기저부에서 palatal plane 과 평행한 선을 긋고 이 라인에서 설골의 위치가 전상방으로 이동되면 수면 무호흡증이 감소되는데 그 효과여부를 확인하는데 많은 데이터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제가 가장 추천하는 것은 간이 PSG인데 치과에서 사용이 용이치 않으면 주변 ENT나 수면센터와 상호 좋은 관계를 맺고 장치 장착전과 후에 PSG 검사의뢰를 통한 협진을 통해 ENT로부터 장치치료를 의뢰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사용한 MAD는 Good air란 장치로 UCLA에서 주로 사용되며 two block type으로 하악의 운동을 어느 정도 허용하며 고무줄을 써서 수면중 개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그림 8)

 

김현철 원장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연세대치대 병원 구강내과 인턴, 전공의수료
·연세대학교 대학원 치의학 박사 학위
·대한 안면통증구강내과 인정의
·미국 UCLA 치과대학 Orofacial Pain Clinic 연수
·대한수면학회 정회원
·대한치과수면학회 정회원
·대한안면통증 구강내과학회 이사
·대한측두하악장애학회 이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외래부교수
·티플러스 베스트덴치과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