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미리보는 치협 종합학술대회·기자재 전시회 ■심포지엄

관리자 기자  2010.03.04 00:00:00

기사프린트

특별 기획

미리보는 치협 종합학술대회·기자재 전시회

■심포지엄

 

노희진 교수
<을지대학교 치위생학과>

Client Centered Dental Hygiene Care


치과위생사는 많은 전문지식과 임상경험, 대상자의 특성파악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발맞춰 양질의 치위생서비스(Dental Hygiene Service)를 제공해야 한다.
치위생서비스는 치위생사정(Denatl Hygiene Assessment), 치위생진단(Dental Hygiene Diagnosis). 치위생계획(Dental Hygiene Care Plan), 치위생처치(Dental Hygiene Implementation), 치위생 평가(Dental Hygiene Evaluation)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각의 과정이 포괄적이며 대상자의 특성이 반영된 내용으로 구성되고 온전히 제공될 때 양질의 계속구강건강관리 서비스(Continuous Dental Hygiene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치위생서비스 과정에서 여러분은 대상자의 요구(need)를 잘 이해한 후 이를 반영하고 있는가? 여러분의 치위생서비스가 대상자를 만족시키고 있는가? 치위생서비스로 대상자의 구강상태가 나아졌는가? 치위생서비스가 건전한 구강건강을 유지, 향상시키기 위한 대상자의 행동변화로 유도되었는가? 


대상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치위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임상적 근거만을 중심으로 술자의 판단에 의존한 단순한 치위생서비스에서 벗어나야 한다. 대상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대상자 중심의 치위생서비스로의 변화가 필요한 시기이다. 치위생서비스 과정 중 대상자의 다양한 요구와 이를 만족시키는 요인과 불만족 시키는 요인들에 대해 고민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박형랑 대표
<아티스치과기공소>

심미 임플란트 기공디자인 설계와 임상례


한마디로 심미를 위한 임플란트(Implant)시술과 보철물제작은 자연치열에서보다 어렵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으나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는 심미적으로 판단되는 위치에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지 여부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치료실 파트에서는 여러 술식이 시도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술자의 능력과 판단에 따라 시술결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기공분야는 기능적인 것과 가시적인 부분을 심미적으로 회복해야하는 의무가 있다. 일반적인 보철물과 달리 생체학적으로 비가시적(invisible) 변수가 있기 때문에 치료파트의 매식 하부구조(Fixture)와 술자의 치료계획 및 진행과정을 이해를 하여야 성공에 이르게 된다. 아울러 환자의 고유한 교합과 심미적 취향에 적합한 상부구조의 설계에서부터 구강습관에 따라 적절한 재료를 선택하는 것까지 고려해야한다.
대부분 치료실에서의 문제는 기공과정의 고민으로 이어지기 마련인데 매식심미보철 특성상 치료실작업이 기공과정으로 파급되는 면과 상호 보완적인 면이 다분히 담겨있으므로 특별히 심미적인 공통관심사를 갖고 서로 해결하려는 냉철한 고민이 필요하다. 이런 일련의 과정을 임상예를 통해 상기해 보고자한다. 

 


유하성 대표
<INTECH Dental Laboratory Network>

The Elements for Beautiful Restorations
 아름다운 보철물 제작을 위한 요건

 

심미에 대한 환자들의 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치과계에서도 보철술식에 대한 치료방법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진료실과 치과기공소간에 긴밀한 의사소통이야말로 과거에도 그러했지만 최근 실제임상에서 해결해야할 보철적 문제들이 더 깊이 더 다양해지는 시점에서 무조건 시행되어야 할 필수요건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진료실과 치과기공소간에  서로의 영역이 있었다면 지금에 와서는 그 고유의 영역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본인은 생각하고 최종적으로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임상 결과를 위해서는 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요소들을 먼저 연구, 이해하고 협력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다양한 임상케이스에 적용해야할 것이다.
그래서 본인은 위와 같은 현실에서 필요한 심미보철에 필요한 요소들은 그동안 경험과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우창우 치과기공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중앙기공실>

Esthetic Ceramic Restoration with Zirconia


Zirconia와 Titanium 그외 재료들이 CAD/CAM을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는 술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올 세라믹 재료로서 Reinforced Glass Ceramic과 Alumina계 Ceramic이 사용되어져 왔고 이는 파절강도의 저하, Alumina의 불투명성 등의 결점으로 인해  심미보철 적용에서 제한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는 달리 Zirconia는 금속과 같은 우수한 물성, 자연치와 유사한 반투명(Translucency)의 특징과 함께 고강도, 고인성의  지속적인 강도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최종소결이후 2차 에너지에 의한 안정한 상에서의 Phase Transformation(상변태)과 Ceramic Veneer과정에서 열전도의 저하로 결합력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이에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장비와 기구의 올바른 사용방법과 안정적인 색 구현을 위한 세라믹 Veneer방법, Titanium Interface를 사용한 Zirconia Abutment, 구치부 Zir-Press Crown,  이중구조보철의 내관 등 Zirconia를 이용한 다양한 보철술식을 임상증례와 함께 소개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