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특별 기획 심포지엄]미리보는 치협 종합학술대회 기자재전시회

관리자 기자  2010.03.11 00:00:00

기사프린트

특별 기획  심포지엄


Masaki Kambara 교수
<Osaka Dental University>

 

21세기 치과 치료와 철학의 패러다임의 전환

21세기에서 대중의 구강건강상태는 꾸준히 향상되어 왔습니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서 대표적인 구강 건강 목표인 DMFT=1(12세 기준)은 달성되어가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현재의 치과 의료 서비스는 미래의 치의학에 적합한 것일까요?


  우선 구강 건강 향상의 이유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잦은 불소사용과 구강검진 및 치과 기술의 향상 등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의 건강-중심적인 진보가 가장 중요한 이유로 생각됩니다. 우리가 미래의 치의학에 대한 생각을 해볼 때 이러한 진보는 치과에 종사하고, 가까이에서 이러한 변화를 지켜보는 사람들에게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구강건강 창조이론을 제시하고 미래에 중요한 3가지 치의학의 형태에 대한 몇 가지 조언을 할 생각입니다. 증거중심치의학(EBD), 생활중심치의학(LOD), 그리고 공공중심치의학(POD). EBD는 기초 과학에 의해 밝혀진 근거를 기본으로 합니다. 치과 질환이 생활양식과 관련된 질환임을 감안하면, LOD는 환자의 생활양식을 고려하여 접근해야하고 이는 구강 건강의 지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POD는 치과의사가 치과 진료실 밖으로 나가는 것을 의미하고, 미래 치의학을 위한 이 분야에서 공공의 건강을 고려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FDI와 ICDAS의 GCI(global caries initiatives)는 세계적으로 새로운 치과의 방향을 바꾸는 흐름입니다. 특별히 우식학 분야에서, 새로운 치과학의 발전은 가역적인 표층하부에서 건전한 법랑질까지의 초기 우식의 인지, 진단, 경과관찰 및 평가를 향상시킬 것입니다.

 


권호근 교수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한국 상황에서 Surgical model에서 Non surgical model로 전환의 필요성


1840년 미국 볼티모어에 치과대학을 개설 한 후 근대 치의학은 급격한 발전을 거듭해 왔다. 현대 치의학의 급격한 발전은 생의학적 모델에 근거하여 biology와  인간의 육체를 기계로 인식하는 기계론적 인간관에 의거하여 발전 되어왔다. 기계론적 인간관이란  인체의 장기를 기계의 일종으로 보고 망가지면 부품을 교체함으로써 문제를 해결 할 수 있고 건강을 회복 할 수 있다는 철학이다. 대표적인 예로 치아가 썩어서 기능을 못하게 되면 발거하고 임프란트 인공치아를 심으면 해결된다는 철학이다. 이러한  건강관은 현재도 많은 치과의사들이 가지고 있는 철학이기도 하다. 이러한 철학이 성립된 주된 이유는  초기 치의학이 외과적 모델과 기계론적 인간관에 의거하여 발전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21세기 치의학이 새롭게 한단계 발전하기 위해서는  외과적 모델과 함께  비외과적 모델을 같이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21세기 들어서 건강에 대한 개념이 질병 예방에서 건강 증진이란 개념으로 변화됨으로써 질병 발생을 보다 조기에  차단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또 다른 이유는 대표적인 구강질환인  치아우식증 유병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에 의하면 2006년 12세 아동의 DMFT 지수는  약 2.8개에서 2006년에는 2.2까지 감소되었다. 이는 국가적인 측면에서는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치과의사의 입장에서 보면  국민들의 치과의료 수요를 감소 시킴으로써 치과의사들의 수입을 감소시키고 치과의료계를 점점 더 경쟁이  치열한 red ocean으로 만들어 가고  있다.


치과계가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국민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치료 위주에서 구강건강관리 개념으로 치료 개념이 변화되어야 한다. 치과의사들이 임상에서 사용하는 치아우식증의 진단 기준은 와동이 형성된 것을 치아우식증으로 진단하나 현재 치아우식증의 개념은 와동 형성이라는 개념보다는 법랑질이 탈회하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인식하고 있다. 유럽에서 개발된 ICIDAS 시스템은 우식증을 초기단계부터 보다 자세히 분류하고 있다.


ICIDAS 체계에 의하면 치과의사들이 치료하는 치아우식증은  매우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ICIDAS 체계를 적용하여 눈에 잘 보이지 않는 우식증을 조기에 발견하여 약물처치나 기타의 방법으로 조기에 재광화 시키면 우식증으로 인한 인류의 고통은 해결 할 수 있다. 다행히도 최근에는 초기탈회를 진단 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것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면 치과계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 할 수 있고 국민들의 구강건강 상태는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이다.

 

 

 

Daisuke Inaba 교수


< Iwate Medical University>

치주 병소 검진을 위한 타액 검사

 

치주질환은 성인 치아 상실의 가장 주된 원인이며, 최근에 당뇨와 심혈관계 질환 등의 위험인자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치주 병소 검진은 건강 위주의 치의학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필수적이다.
 이에 우리는 치주질환에서의 타액 검사 측면과 일본 성인에서의 타액검사와 대사장애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타액 내 hemoglobin(Hb)과 lactate dehydrogenase(LDH)에 대한 우리의 임상적 연구에서, 중증 치주염(CPI 3+4)에 대한 특이성은 Hb은 0.75(cut-off=4.2 μg/mL), LDH은 0.68(cut-off=282 IU/L)로 나타났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Hb 레벨이 비만이나 대사장애의 환자들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p<0.05), 타액 내 LDH 레벨이 트리글리세리드, 혈압 또는 공복 혈당이 높은 환자들에서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대사장애 관련요소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p=0.0020, ANOVA). 특히, LDH 레벨은 3개 혹은 4개의 대사장애 관련요소를 가진 그룹(359±343 U/1)에서 대사장애 관련요소가 없는 그룹(235±163 U/1)에서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Tukey test). 요약하자면, 타액내 Hb와 LDH은 적절한 감수성과 특이성으로 치주 검진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증가된 타액내 LDH 레벨은 대사장애의 진행에 대한 예전 요소가 될 수 있다. 임상적인 측면에서는, 대사장애 요소가 있는 환자에게 치주 검진과 전문적인 치과치료를 권장해야 한다.

 

 

 

Elbert de Josselin de Jong
<Chief Research Officer>


향상된 구강 질환의 조기 탐지, QLF-D와 DIAGNOdent의 비교


근래 수복 및 예방치의학에서 해가 없고 비침습적이며 착색되지 않고 위험도가 낮은 향상된 구강질환의 탐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었다. 수복학은 자연치열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치료를 완료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예방적 치료는 조기의 위험도 평가와 초기 병소의 탐지, 치은의 표면 감염 탐지를 필요로 한다. 전신건강의 관리는 구강 건강 상태의 효과적인 모니터링으로 적은 비용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현재 사용가능한 상품과 평가 방법에 따른 분류에 대해 보고할 것이다: 영상 또는 펜 형식의 테크닉, 정량, 정성 결과 평가.
주요한 초점은 교합면, 인접면 우식증에 대한 양적 진단이 특징인 DIAGNODENT PEN에 대한 것이 될 것이다.


QLF - D 라는 자가 형광물질에 기반을 둔 새로운 조기 구강 질환의 탐지 장치가 소개되었다.  이 장치는 SLR카메라를 포함하며 macro 렌즈와 푸른색과 흰색의 LED를 갖춘 RVS tube, 특별한 filter로 구성된다. usb cable로 QLF-D라는 software를 통해 pc와 연결되며 이는 영상캡쳐, 컴퓨터에 의한 자동 탐지 및 분석이 가능하다. 이 시스템은 높은 질의 형광과 흰 빛에 의한 영상의 캡쳐를 기능하게 한다. QLF-D는 치아우식, 이차우식,  실란트의 leakage, white spot, 치태, 치석, 치은열구, 감염된 치근관, 치아주변조직에 대한 탐지를 가능케 한다. QLF - D 영상은 후향적 근거를 제공하며 펜 형식의 시스템과는 차별화된다.
치과 진료는 조기 구강 질환의 진단 도구를 필요로 한다. 광학장치에 기반을 둔 QLF-D와 같은 새로운 제품은 치과 진료에서 폭넓게 사용될 것이고 이러한 제품들이 최신의 치과진료를 통합하는 것은 자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