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오 교수
<단국대 치과병원 마취과>
기본생명유지술
어떤 의학적 위급과 응급에 대한 처치는 심폐소생술의 기본생명구조술 교육 내용인 기도유지, 호흡, 순환 (ABC)으로 이루어진 기본평가와 처치가 시작되어야 한다. 현대적인 의미의 심폐소생술의 표준지침은 1966년에 처음으로 National Acadamy of Science (NAS)-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회의에서 합의되었다. 이후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새로운 실험연구와 임상연구를 검토하여 이전의 표준지침을 개선하여 왔으며 지금까지 7차례에 걸쳐 표준지침을 수정하였다(1970, 1974, 1980, 1986, 1992, 2000, 2005년). 초기에는 주로 미국 심장학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가 주관을 하였으나 2000년 이후에는 AHA와 International Liaison Committee on Resuscitation(ILCOR)이 공동으로 단일화된 심폐소생술의 지침을 마련하였다. 놀라운 사실은 조기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것이 생존에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으로 심폐소생술을 받는 경우가 드물고 더욱이 양질의 심폐소생술을 받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한다. 이러한 것은 심폐소생술의 방법이 다양하여 배우고 익히기가 힘든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 생각된다.
최근 개정된 2005년도 지침은 지금까지 출판된 소생술과 관련된 방대한 자료를 오랜 기간 동안 검토한 결과로서 지금까지 배우기 어려웠고, 배운 지식도 시간이 지나면서 잊어버리기 쉬운 심폐소생술 방법을 가능하면 단순화 하였고, 효과적인 소생술을 위하여 심장압박의 중요성과 불필요한 과환기의 금지, 조기에 자동제세동기 사용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첫째, 효과적인 가슴압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효과적인 가슴압박을 위하여 “push hard and push fast”라 하여 빠르고 강하게 압박하며 압박의 속도는 분당 100회가 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충분히 심장이 이완(확장)되도록 심장압박과 이완시간을 같은 비율이 되도록 하였다.
둘째, 1인구조자의 경우 가슴압박과 호흡의 비를 30:2 한가지로 통일하였다. 이는 구조자에 따라 서로 다른 비로 인한 혼란을 줄이고 가슴압박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더 많은 횟수의 가슴압박을 제공하여 주요 장기로의 혈류를 개선하기 위함이다. 심실세동으로 인한 심정지 시 첫 1분 동안은 호흡보다는 가슴압박이 중요하지만 저산소증으로 인한 경우(소아의 주된 원인)나 1분이 경과한 심정지의 경우에는 호흡도 매우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 보다는 가슴압박을 하는 것이 더 좋은 것이 분명하지만 일반구조자라 하더라도 가슴압박 단독의 심폐소생술이 더 우수한 방법이라고 권장하지는 않는다.
셋째, 구조 호흡은 1초간 시행을 하며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며 또한 권고한 횟수 만큼만 시행하고 과도한 압력으로 호흡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1초 이상의 호흡으로 인한 과도한 환기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심폐소생술 동안은 폐혈류가 감소된 상태이기 때문에 많은 환기량이 필요치 않으며 오히려 과환기는 혈규감소와 위 팽만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넷째 심실세동으로 인한 심정지 환자의 경우 1회의 전기제세동 후 즉시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것과 5회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하고(약 2분) 맥박을 확인하도록 하였다. 이는 이전의 3회 연속적인 제세동과 제세동 전, 후의 맥박확인으로 인한 가슴압박의 중단을 줄이기 위함이다.
다섯째, 2003년 ILCOR의 소아에서 자동 체외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사용 권고사항을 재확인하고 1세 이상의 소아에서 심정지가 목격된 경우 가능한 빨리 AED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목격되지 않은 심정지의 경우에는 제세동에 앞서 5회의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것을 권고하였다.
강정완 교수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심폐소생술에서의 부정맥과 자동제세동기 사용법
심폐소생술에서 심정지의 원인 중 가역적인 심실세동을 제거하는 제세동기의 작동원리와 그 중요성에 대하여 강조합니다. 이제는 제세동기가 자동화되어 전문가가 아니라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경우 꼭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1. 심정지 때의 심전도
2. 제세동이 유효한 심정지는?
3. 제세동기는 어떤 작용을 하나?
4. 언제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여야 하나?
5. 자동제세동기는 어떻게 사용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