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 기획
미리보는 치협 종합학술대회·기자재 전시회
■심포지엄
박정원 교수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보존학교실 >
MI의 이해와 적용 이 경우 꼭 crown을 해야 하나요?
임상에서 치료 계획의 수립은 의사의 고유 권한이라고 배워서 알고 있으며 치료 계획이 서로 다른 것에 대해서는 진료 과실을 얘기하기 힘든 부분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같은 환자를 보면서도 충치치료를 해야 하는 치아의 개수, 치료재료, 치료하는 범위가 치과의사마다 서로 다르게 얘기하여 환자가 의사에 대한 불신을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치료 계획의 수립에는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하여야 하지만 수복물의 기능성, 수명, 심미성, 그리고 치아의 보존이란 측면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 강의에서는 전치부 수복이 필요한 경우 기존에 일반적으로 crown을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는 증례에 있어 접착을 이용한 심미수복으로 치질을 보존할 수 있는 증례의 적응증, 제한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최경규 교수
<경희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존학교실>
성공적인 치경부 수복 (Successful Cervical Restoration)
치과 임상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는 시술은 치경부 마모증(cervical abrasion)으로 생각된다. 대부분의 성인은 한 두개 이상의 치경부 결손이 있고 우리는 수 많은 치경부 마모증을 치료하면서 진단과 치료계획 및 예후를 판정하는 것은 그리 쉽게 받아들이지 못한 게 사실이다.
치경부의 문제를 호소하는 환자는 대개 치료부위가 검게 변했어요, 치료받았는데 자꾸 떨어져요, 치료 후 더 시리고 불편해요 등을 호소하는데 우리는 이에 만족할 만한 답을 제시하지 못한다. 우리가 치료한 치경부 수복에서 뒤탈없이 성공한 경우가 과연 몇 퍼센트라 자부할 수 있는가?
치경부 결손은 우식과 비우식성 병소로 대별되며 비우식성 병소는 마모증, 침식증 및 교합력에 의한 abfraction 등이 있다. 이러한 병소는 그 원인이 상이하고 따라서 접착제 및 수복재의 종류 및 시술방법이 달리 적용되어야 한다.
본 강의에서는 치경부 결손의 수복에 있어 올바른 와동형성 및 접착방법, 복합레진을 포함한 수복재의 선택 및 적용방법, 술후 과민반응의 예방과 처치 및 예후 판정, FAQ 등에 대하여 이론적/임상적 지침(guideline)을 제시하여 성공적인 5급 수복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황인남 교수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보존학교실>
MI 구치부 수복
수복 재료로서 복합레진의 위상 변화와 접착 치의학 분야의 발전은 수복학 분야의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과거 비접착 금속성 수복 재료를 이용한 수복에 적용되던 공격적이고 침식적 개념들이 예방적 처치와 연속적 관리를 요구하는 MI(Minimally Invasive) Dentistry 개념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 그중 하나이다. 여기에는 접착 치의학과 복합레진의 발전, 기기 및 처치 방법의 기술적 발전, 그리고 과학적 증명을 토대로 하는 임상 술식의 개발들이 그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MI 개념이 갑자기 발전된 개념은 아니며 이미 오래전부터 예상되었던 많은 부분들이 실험적으로 증명된 여러 연구들을 통해 새로이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본 강의에서는 우식 처치에 대한 예방적 접근, 비침식적 우식 관리를 위한 정확한 진단과 와동 형성을 위한 새로운 기술적 접근, 접착 수복학을 기초로 하는 치료 계획의 변화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조경모 교수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보존학교실>
FRC-Post의 선택과 이용
Post는 코어의 유지를 위해 근관 안에 삽입하는 장치이다. Post는 장착하였을 때 치아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아야 하며 최소한의 치질을 삭제하여 치아의 강도 또한 약화시키지 않아야 한다. 또한 재근관치료를 위해서 근관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완전도재 혹은 복합레진 수복을 하는 경우 심미성에 악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이번 강연에서는 Post를 삽입하는데 고려하여야 할 점에 대하여 정리하고 최근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Fiber-Reinforced Composite Post를 중심으로 사용 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함께 생각하고자 한다.
- FRC-Post의 필요성
- 다양한 FRC-Post 제품의 비교
- FRC-Post를 삽입할 때의 고려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