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제 치의학전문대학원 부각
고교·대학졸업자 모두 지원 가능
정필훈 치대·치전원 협의회 회장 제안
정부가 현행 의사 양성학제 제도 개선 방안을 늦어도 4월 말 확정 발표 예정인 가운데 6년제(학·석사 통합)전문대학원 제도가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단기적으론 현행 의·치의학 전문대학원 제도의 골격이 유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김춘진, 신상진, 박영아 의원은 지난 1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의학교육제도 어떻게 할 것인가?’ 주제로 정책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치의학교육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주제 발표한 정필훈 ‘한국치과대학장·치의학 전문대학원장 협의회’ 회장은 “협의회 결론은 치과의사양성제도는 6년제가 돼야 하고, 전체 학생 중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수용 비율은 각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며, 치대에서 전문대학원체제로 이행하는 대학은 체제 변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는 3가지”라고 밝혔다.
정 회장은 6년제 전문대학원 제도의 장점으로 ▲ 치과의사 양성 기간이 사실상 2년 늘어남에 따라 양성교육의 내실화를 기할 수 있고 ▲군의관 요원과 공중보건의 요원 확보가 용이 해지며▲ 이공계 출신 학생들의 전공이탈을 방지해 국가 경쟁력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치과의사 양성학제는 3가지 형태로 병행되고 있다.
▲강릉원주 치대, 단국치대, 원광치대의 경우 2+4인 치대 체제를 ▲ 경희, 경북, 부산, 서울, 전남, 전북, 조선치대는 4+4 제도인 치의학전문대학원 제도를 도입하고 있고 ▲연세치대는 두개를 병행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혼합형 학제다.
이날 정 회장이 밝힌 6년제 전문대학원 제도는 고등학교 졸업자와 4년제 대학졸업자 모두 입학할 수 있게 하되, 대학졸업자와 고등학교 졸업자의 비율은 대학자율에 맡겨 달라는 것이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최재갑 경북대 치의학전문대학원 원장도 “6년제 치의학전문대학원제로 치과의사 양성제도를 일원화 할 필요가 있다” 면서 “법학전문대학원과 같이 법을 근거로해 제도가 운영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의전원이나 의대 선택권 대학에 일임해야
의과는 치과와는 일부 다른 해법을 내놨다.
이날 토론회에서 의학교육제도 개선방향에 대해 주제 발표한 신좌섭 한국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협의회 전문 의원은 “교육과학기술부 산하 의·치의학제도 개선위원회 평가소위원회의 결론은 ▲제1안으로 의대와 의전원 2개 체제 공존 ▲고졸자와 대졸자를 유연하게 받을 수 있는 새로운 단일 학제 도입(2안)을 제안한 상태”라고 밝혔다. 즉 의대나 의전원 체제를 각 대학이 자율적으로 선택토록 하고 새로운 의학전문대학원을 도입할 경우 고졸생(학 석사 통합과정)과 대졸생 입학비율 역시 대학 자율적으로 책정해 선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6년제 전문대학원제 비중 있는 안
이와 관련 김관복 교육과학기술부 대학 지원관은 “현재 교과부 제도개선위원회에서 논의 중인 6년제 전문 대학원안 (학석사 통합과정 안)은 비중이 있는 안 중 하나”라며 “그러나 법학전문대학원 제도와 같이 법률적 근거가 필요한 만큼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원관은 특히 대학의 학제 선택권 보장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그는 “학제 선택을 대학 자율에 맡길 경우 병행체제 대학의 대부분이 의과대학 체제로 회기 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의료전문인력양성이 불가능 하고 이미 대학에 재학 중인 의전원 입시준비생의 선택권이 제약될 수 있다”고 강조, 학제 선택 자율화 주장안을 사실상 일축했다.
그는 또 의사양성 체제 변화는 현행 고교생의 대학입시와 의치전원 준비 대학 재학생의 입시일정 등을 고려해야하는 등의 해결과제가 있는 만큼 경과기간이 필요하다고 밝혀 향후 단기간내 학제 변경이 가능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이날 정책토론회와 관련 최재갑 원장은“오는 4월 경 발표 예정인 치의학· 의학 학제개선안은 현재 교육부가 4+4제도인 의치학전문대학원제도를 근간으로 보완책을 내놓을지, 아니면 6년제(학·석사 통합)전문대학원 과정으로 제도 개선안을 발표할지 여부는 알 수 없다”며 “중요한 것은 교육과학기술부가 6년제 학·석사 통합 전문 대학원 제도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