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의치전원 자율선택안 유력
의·치의학 교육제도 개선안 6월안 확정 발표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가 의·치의학 교육제도(학제)개선안을 빠르면 오는 5월 말이 늦어도 6월 안에는 확정 발표 할 예정으로 각 대학이 대학특성에 맞게 의대나 의·치전원 중 택일하는 방안이 유력시 되고 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와 교과부에 따르면 ▲의·치의학전문대학원(이하 의치전원) ▲치대와 의대 ▲의치전원과 치대(의대) 병행 등 3개 체제로 운영돼 왔던 학제 개선안을 지난해 6월 구성된 의치의학교육제도 개선위원회의 의견을 수렴, 빠르면 5월 말 늦어도 6월 중순중에는 확정 발표한다.
이 중 의·치전원과 의·치대생을 반반씩 뽑아 운영하는 ‘병행학제’의 경우 교과부와 교육제도 개선위 모두 부정적이어서 폐지가 확실하다.
병행학제를 운영하고 있는 대학은 치과계에서는 연세대 1곳이며, 의과계에서는 서울, 연세, 고려, 한양, 성균관, 충북, 중앙 등 모두 12개교다.
최근 국회와 교과부가 주최한 의치의학 교육제도 개선 공청회에서는 ▲의·치학전문대학원이나 치대·의대학제를 각 대학의 사정에 따라 자율 선택하는 A안과 ▲6년제 치전원 제도로 불리 우는 새로운 학제인 학·석사 통합과정(2+4제)이 B안이 각각 부각됐다.
현재 교육부와 교육제도 개선위에 참여하는 인사들의 경우 B안보다 A안을 보다 선호하고 있어 A안으로 결정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교과부는 지난 4월 7일 교육과학기술원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의·치전원 제도를 선택하는 대학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 하겠다는 의사를 강력히 피력한 바 있다.
교과부는 각 대학이 A안을 선택하되, 이중 의·치전원 제도를 채택하는 것을 내심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의·치전원 제도가 법학전문대학원 제도와 맞물려 시행된 국가적인 개혁 정책인데 일부 부 작용이 있다고 해서 이 제도를 중도하차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시행 10년 정도 밖에 안 된 만큼, 제도의 성공 평가를 위해서는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의학 분야 교수, 재학생 등을 대상으로 평가 결과 의·치전원 제도와 의·치대 제도 간의 우열을 가릴 수 없다는 평가 결과가 나왔다.
이와 관련 국회 교육위원회 관계자는 “현직 의전원 학장들의 모임인 한국의대·의전원협회에서도 제도 선택의 경우 대학자율에 맡겨달라고 한다”며 “현실적으로 의·치전원과 의·치대 중 하나를 선택하는 개선안이 확정 발표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의대 ·의전원 협회는 제도 선택은 물론 대졸자와 고졸자 선발비율도 대학자율에 맡겨 주길 원하고 있으나 교과부는 선발 비율과 관련해서는 부정적이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