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3개 치대 교수협 ‘교육제도 공청회’ 발표 내용 반발

관리자 기자  2010.05.17 00:00:00

기사프린트

3개 치대 교수협 ‘교육제도 공청회’ 발표 내용 반발
치전원장협의회에 공개 질의
정필훈 회장“회의 거쳐 공식 입장 밝힐 것”

 

치대학제를 유지하고 있는 강릉원주치대, 단국치대, 원광치대 등 3개 치대 교수협의회가 지난 4월 7일 교육과학기술부가 주최한 ‘의치의학 개선방안 공청회’에서 모 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장의 발표 내용에 반발, 공개 질의서를 치의신보에 게재하고 해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3개 치대 교수협의회 지난 5월 13일자 8면 치의신보에 ‘치의학전문대학원장협의회에 보내는 공개 질의서’라는 제목의 질의서를 광고 형식을 빌려 게재했다.


질의서에 따르면 지난 4월 7일 교과부가 개최한 공청회에서 유일하게 치과계 인사로 참여한 모 치의학전문 대학원장이 발표한 내용에서 치전원과 치과대학의 차별화라는 명목으로 ▲치전원은 기관인증평가를 통해 졸업자에게 면허를 부여하고 ▲치대졸업자는 국가시험을 통해 면허를 부여하라는 내용이 명기돼 있다고 지적했다.


3개 치대 교수협의회는 “이 같은 발상은 납득할 수 없다. 치과계 내부 논의도 없이 정부의 공청회에서 문서로 버젓이 제안한 점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 한다”면서 4개 항을 질의했다.
첫 번째로 3개 치대 교수협의회는 교과부는 공청회 발표자로 치과계 대표가 선정된 것이 치전원장 협의회에서 추천한 것인지, 아니면 교과부가 아무런 자문 없이 지정한 것인지에 대해 질의했다.
두 번째로 공청회 자료에 명기된 치과대학졸업자만 국가시험을 치러야 한다는 주장에 대한 치전원장 협의회의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했다.


세 번째로 공청회 자료에 명기된 ‘치의학교육평가원 설립’과 ‘치의학교육학회’ 결성이 치전원이 교육계에 일으킨 변화라는 주장, 즉 치전원 때문에 이러한 조직이 결성됐다는 주장에 대해 치전원장협의회는 동의 하는가를 물었다.
네 번째로 학제개편은 치과계 미래에 매우 중대한 문제인 만큼, 제도 개선 논의는 범 치과계 차원에서 공개되고 신중한 토론과 검토를 거쳐 추진돼야 하는데 이에 대한 치전원장협의회의 입장은 무엇이냐고 질의 했다.


특히 3개 치대 교수협의회는 “질문에 대해 공식입장을 언론에 표하여 줄 것을 요구하고 치대가 엄존하는 현실에서 치대 학장이 배제되고 치전원장만이 치과계를 대표해 발표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면서 “공청회 발표자 지정이 치전원장 협의회의 추천에 의한 것이라면 치전원장 협의회의 의사가 반영된 것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교과부가 치전원장 협의회와 협의 없이 순전히 자의적으로 발표자를 선정해 발표자가  개인적인 의사를 밝혔다 하더라도 유일한 치과계 인사로서 치과계를 대표해 국민에게 공개하는 공청회 내용을 치과계 내부의 공감이 없는 내용으로 발표했다면 발표자는 이를 공식적으로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정필훈 한국치대학장 치전원장 협의회 회장은 “치전원장 회의 등을 거쳐 공식 입장을 준비해 밝히겠다”는 입장이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