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벌제 국회 통과
제약회사들 “영업 비상”
일부 의원 영업사원 방문 거부
제약회사로부터 리베이트를 받은 의사도 처벌을 한다는 쌍벌제가 국회를 통과하자마자 일부 의원에서 제약회사 영업사원 진료실 출입을 금하는 등 의료계의 즉각적인 반발이 잇따르고 있다.
한 지역의사회는 회 차원에서 제약회사 영업사원들에 출입금지조치를 취하는가 하면, 쌍벌제 시행을 앞장서 주장했던 제약회사들에 대한 불매운동까지 벌이려하고 있다.
의료계의 이같은 반응은 D·H·J 사 등 일부 제약회사들이 쌍벌제 선시행을 주장한 것이 확인된데 따른 것으로, 의료계는 제약계가 리베이트 쌍벌제를 주장하며 의사들만을 부정한 존재로 취급했다는데 분노하며 일어섰다.
의료계는 리베이트를 근절하자는데는 동의하나 쌍벌제는 의사들을 잠재적인 범죄자로 몰고 가는 것이라며, 제약회사들이 먼저 리베이트를 제시할 때는 언제고 이제와 의사들에게만 책임을 떠넘기는 태도를 보이니 괘씸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에 제약회사들도 당황한 기색을 보이며 “쌍벌제가 이렇게 빨리 국회를 통과할 줄은 몰랐다”는 반응이다. 제약업계는 의료계의 이러한 집단행동이 더욱 조직적이고 장기적으로 진행될 경우 매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기존 영업중심의 경영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전수환 기자 parisie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