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1, 6대 0, 2대 1격차 크다”
의협 연구소 대비… “연구소 시스템 정착 절실”
치과의료정책연구소 제2회 정책포럼 ‘성료’
“5:1(예산)”, “6:0(연구원 수)”, “2:1(연구소 회비)”
이는 2008년 1월 개소한 치협 치과의료정책연구소와 지난 2002년 7월 개소한 의협 의료정책연구소의 현황 격차를 보여주는 최근 성적표다.
의협 연구소의 2010년도 연구소 예산은 30억5천4백여만원으로 지난 4월 정기대의원총회에서 회비 3만원이 결정됨에 따라 수립된 치협 연구소의 2010년도 예산 5억6천2백여만원보다 5.43배가 많다. 그러나 이자수입만 2억원에 달하고 있는 의료정책연구소의 순수적립금이 치협 예산에 버금가는 정도여서 그 예산 규모 차이는 더 크게 벌어진다.
연구원의 수에 있어서도 의협이 현재 부연구위원 2명, 책임연구원이 2명, 연구원 2명으로 총 6명인데 비해 치협 연구소는 전담 연구원이 1명도 없는 상태여서 연구소라기에도 부끄러운 상황이다. 연구소를 지원하는 인력도 의협 연구소 전담 직원수가 국장 1명을 비롯해 3명인데 비해 치협은 전담직원이 없고 다른 업무를 겸직하고 있다.
또한 치협이 올해부터 연구소 회비를 3만원 걷기로 함에 따라 식물연구소 수준으로 괴사상태였던 연구소가 기사회생하긴 했으나 의협은 회원 1인당 연구소회비가 연 6만원이 책정돼 있어 치협보다 두배가 많다.
이같은 차이는 지난달 27일 치협 치과의료정책연구소가 ‘치과의료 정책연구의 동향과 발전 방향’을 주제로 치협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제2회 치과의료 정책포럼에서 드러났다<관련기사 9면>.
이날 포럼에서 연구소 설립에 기폭제가 됐던 박종수 전 치협 대의원총회 의장은 지정토론에서 “치과계는 지금 큰 저수지의 뚝 밑의 마을과 같다”며 “우리 모두 이번 기회에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정책연구소를 확실히 소생시켜 어떤 힘에도 굴하지 않고 대응책을 만들 수 있는 든든한 연구소로 뿌리내리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전 의장은 최소한 상근직원 1명, 상근연구원 1명 이상, 객원연구원 약간명, 상임운영위원 약간명 정도의 조직원이 있어야 하는 등 연구소 시스템을 정착시켜 독립기구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전문화된 정책인적자원을 길러내면서 끊임없이 치과계 발전을 위한 효율적인 연구자료를 창출해야 하며, 연구소 예산도 최소한 1년에 5~7억원이 적정선이라고 덧붙였다.
우봉식 의료정책연구소 전 실장은 의협 연구소의 현황과 기능, 업무 분야, 예산, 연구사업 처리 절차 등을 소개한 뒤 연구소는 집행부를 도울 수 있는 논리적인 연구를 진행해야 하고 집행부는 이 연구결과를 지혜롭게 정책에 반영되도록 해야한다는 등의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3면에 계속>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