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황호길 교수의 지상강좌]근관치료의 안전화 (Speedy)(25면)

관리자 기자  2010.06.14 00:00:00

기사프린트

[황호길 교수의 지상강좌]근관치료의 안전화 (Speedy)(25면)

 

<24면에 이어 계속>

 


1) 의원성 치근단 부위 형태변형


의원성인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근관 내 기구조작 시 아래사항을 유의하면 근관의 형태변형을 많이 줄일 수 있다.

 

■의원성 치근단 부위 형태변형을 줄일 수 있는 요령


- 치근단 확대 시 삭제력이 뛰어난 H형 파일보다는 K형 파일로 확대 (사진 8)
- 치근단 확대 시 확대방법으로는 balanced force technique를 사용 (사진 9)
- 매 단계 확대기구 사이사이에 근관의 개방성 확인
  : 10번 K형 파일을 이용하여 전자근관장 측정기로 확인
- 풍부한 세척과 근관의 치근단 1/3부위까지 도달할 수 있는 세척 needle을 사용
- 매 확대기구는 항상 알코올 스폰지로 깨끗하게 닦아서 사용
- 방사선 사진 상 만곡된 근관의 경우 기구를 미리 만곡시켜 위치를 확인한 후 사용
- 만곡의 형태가 복잡한 경우 치관부측 2/3를 미리 확대하여 단순화시켜 치근단 확대
- 항상 만곡근관의 외측으로 확대하여 미리 만곡의 정도를 줄여준 후 치근단 확대


2) 확대기구의 형태학적 디자인에 따른 형태변형


최근 흔히 사용되는 엔진 구동형 근관확대기구의 형태학적 디자인에 따른 기구적 원인으로 근관의 치근단부 형태변형이 많이 나타난다. 근관의 치근단부 형태변형에 있어서 엔진 구동형 니켈-티타늄 파일의 디자인에 따른 요인을 구분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선단(Tip)의 형태 


초창기 엔진구동형 니켈-티타늄 파일의 선단 형태는 삭제날을 가진 형태로 제작되었다. 삭제날을 가진 선단의 형태는 삭제력이 뛰어나 근관에서 저항감이 느껴지는 경우 직선 방향으로 근관을 확대하게 되어 ledge 형성을 하게되며 더 진행하면 결국 근관을 천공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단의 삭제날을 없애 근관의 저항이 가장 적은 부위인 근관의 중심부위로 선단이 자연스럽게 진행할 수 있는 pilot tip이 개발되었으며 현재까지 이 디자인은 모든 엔진 구동형 니켈-티타늄 파일에 적용되고 있다6~8)(사진 10).

 

② 측면날(blade)의 형태


초창기 측면날의 형태는 날로 제작되기보다는 안전성을 강조하여 Profile과 같이 면으로 제작되었다 (사진 11). 그러나 치질확대 시 면으로 측면날이 제작된 경우 주로 치질에 면으로 만나기 때문에 근관 내 끼임현상이 증가하여 파절 위험성이 증가하고 만약 근관 내에서 기구가 파절되면 공간이 없이 binding되어 by-pass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측면날을 ProTaper, Hero, K3와 같이 날의 형태로 제작하여 근관 내 끼임현상을 줄이고 삭제력을 증가시키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나 반면, 삭제력이 너무 뛰어나 근관 내 일정한 위치에서 무리하게 사용하게 되면 심한 근관형태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사진 12).  


③ 파일의 코어를 구성하는 금속의 양


파일의 단면형태에서 측면날(blade)을 제외하고 이루어지는 원의 크기는 파일의 코어를 구성하는 금속의 양을 나타낸다(사진 13). 기존에는 파일의 코어를 구성하는 금속의 양이 선단으로 갈수록 적어졌으나 최근에는 전체적으로 금속의 양을 일정하게 구성하여 선단의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서 파일이 파절되는 경향을 감소시켰다(사진 14). 그러나 파일의 코어를 구성하는 금속의 양이 증가되면서 파일은 유연하기보다 강한 특성을 보이며 근관 내 일정부위에서 장시간 사용 시 만곡근관을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단시간 사용(한 파일 당 5초 이내)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④ 파일의 측면날과 치질이 이루는 각의 형태


엔진구동형 니켈-티나늄 파일을 이용하여 치질을 삭제할 경우 파일의 측면날과 치질이 이루는 각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사진 15). 과거에는 안전성 측면을 강조하여 Profile에서 처럼 주로 음각9, 10)을 사용했으나 최근에는 신속화 측면을 고려하여 K3나 Hero 파일처럼 양각의 형태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양각의 형태는 치질을 파고들어 삭제하기 때문에 잘못 사용 시 심한 근관의 형태변형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ProTaper 파일처럼 치질을 문지르면서 삭제하는 음각을 도입하여 근관의 형태변형을 줄이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사진 16). 
 <27면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