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치전원, 치대 복귀 가능성 높다”
“교과부 지원 불구 교육현장 만족도 낮아”
교과부 제도 개선 발표 안팎·향후 전망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가 지난 1일 병행대학 체제를 폐지하고 의·치전원이나 의·치대를 각 대학 사정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의ㆍ치의학 교육제도 개선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제도개선계획은 교과부가 지난 2002년 의ㆍ치전원 제도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2009년까지 운영 성과를 보고 2010년에 의ㆍ치전원 체제를 계속 유지 여부를 최종 결정하겠다고 밝힌 것에 대해 ‘울며 겨자 먹기식’의 약속 이행 차원에서 이뤄졌다는 평가다.
교과부는 지난해 6월부터 의·치의학교육제도 개선위원회(17인)를 구성해 의·치전원제도 도입 평가 작업을 실시했다.
교과부는 의·치전원 제도를 도입 시점부터 현재 까지 국가교육 개혁 사업으로 규정, 제도정착을 위해 의·치전원 전환대학에 대해서는 많은 인적·물적 지원을 쏟아 부었다.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약 7년여 간 의·치전원 체제 정착비 4백7억원, BK21 사업지원 1천1백26억원 등의 재정 지원은 물론 국립대학의 경우 약 342명의 교수가 충원됐다.
그러나 이 같은 7년여 간의 노력에도 불구 상당수 의·치전원들은 과거 의·치대로의 전환을 꿈꾸고 있다.
교과부는 아직도 의·치전원으로 남는 대학에 대해서는 추가 지원을 하겠다며 정책실패 방지 차원에서 ‘당근’책을 제시하고 있으나, 교육 현장에서의 반응은 차갑다는 후문이다.
그 이유는 의·치전원제도가 도입 당시 취지와는 달리 많은 모순점이 발생, 교수들의 만족도가 낮다는데 있다.
교육 현장에서 나타난 주요 문제점은 ▲교육기간 연장으로 의사들이 고령화 되고 ▲등록금이 최대 50% 상승 했으며 ▲비 정상적인 의대 입학 경쟁의 감소를 예상했으나 되레 대학생들의 입시 경쟁을 초래한 점 등이다.
또 ▲대부분의 의·치전원에 수도권 출신 대학 출신이 대거 입학해 지방 대학의 인턴 부족현상을 야기하는가 하면 ▲군필자와 여학생 입학 비율이 크게 늘어 공보의나 군의관 요원 부족 현상을 부채질, 국가 공공의료 인력수급정책이 흔들리는 결과를 야기하기도 했다.
특히 교육현장을 지키는 교수들이 7년간 교육한 결과, 제도 도입 당시 기대됐던 다양한 학문 배경을 가진 성숙한 학생의 입학에 대한 기대도 충족돼지 못한 채 오히려 빈곤층 학생들의 치과의사 길을 막는 ‘걸림돌’로 작용했다.
이 같은 여러 문제점으로 인해 오는 10월 22일까지 치대나 치전원 전환의 계획을 담은 학제 운영계획을 제출할 전국 10개 치전원·치대(연세대는 8월)들의 경우 많은 수가 치대전환을 선택할 전망이다.
현재로선 서울대 치전원의 경우 치대 전환이 확실시 되며 연세대와 경희대 역시 치대전환에 무게 중심이 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치대 체제를 고수하면서 전국 최고 성적의 고교 신입생을 선발하는 등 반사적 이익을 누려왔던 단국, 강릉, 원광치대 등 3개 치대는 교육제도 변화에 따른 반발은 크겠지만, 그렇다고 치전원 제도를 선택하지는 않을 전망이다.
치전원제로 전환해 국가적 지원을 많이 받은 경북, 전남, 전북, 부산, 조선대 치전원 등 5개 치전원은 교육부의 추가지원이라는 당근 정책과 ‘정책 실패’를 인정하고 싶지 않는 교과부의 의중 등으로 치대로의 환원에 상당한 고민이 예상되고 있다.
일부 교수들 중에는 치전원제 전환 후 교수 충원 등 교육 인프라가 크게 개선되는 등 발전한 만큼, 추가 지원이 약속된다면 신중히 결정해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5개 치전원 교수들 중 많은 수가 치전전 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는 후문이어서 5개교 모두가 치전원제를 고수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