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민·관·치의 참여 ‘감염관리협의체’ 정부 제안키로

관리자 기자  2010.07.15 00:00:00

기사프린트

민·관·치의 참여

‘감염관리협의체’ 정부 제안키로
실질적 제도 방안 마련… MBC에 항의 서한도


치의권회복위원회 회의


치협이 보험수가 반영 등 치과 감염관리에 대한 근본적인 방안 마련을 위해 민(소비자)· 관(정부)· 치과의사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가칭)감염관리협의체’ 구성안을 정부 측에 제안키로 했다.
제도적 뒷받침에 대한 논의 없이는 치과 감염관리 문제가 언제든 또 다시 불거질 수 있어 협의체를 통해 논의를 이어가기 위해서다.


치협 치의권회복위원회(위원장 이원균)는 지난 7일 방영된 MBC 불만제로를 통해 또 다시 불거진 치과 감염관리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9일 오전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방침을 정했다.


이날 위원회에서는 우선 이번 방송과 관련한 전반적인 문제점을 검토한 후 취재대상의 표본 오류, 객관적인 근거가 없는 자의적인 인터뷰 내용 보도 등의 문제점이 있는 만큼 항의서한을 작성해 MBC 측에 즉시 전달키로 했다.


특히 이번 방송이 나간 직후인 8일 복지부가 동 사안으로 치협 임원 면담을 요청해 온 것과 관련 조성욱 법제이사와 지영철 경영정책이사가 노홍인 보건의료정책 과장을 직접 만나 논의한 사항이 보고 됐다.
지 이사는 “복지부와 면담하는 과정서 이번 방송이 문제점을 지적하기에 앞서 그동안 복지부와 치협이 감염방지와 관련해 노력해 온 부분들에 대해서는 상당부분 인정했다는데 공감했다”면서 “감염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감염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보험수가에 포함되는 등 제도적인 뒷받침이 우선 돼야 한다는 부분을 강력하게 건의했다”고 밝혔다.


지 이사에 따르면 복지부 측은 이번 방송직후 향후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사항인 만큼 현 치과의료기관 감염관리 기준책자를 회원들이 보다 알기 쉽게 요약한 매뉴얼과 병원 부착용 포스터를 제작 배포하고 감염 관련 보수교육 등에 보다 힘써 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대해 위원회는 복지부 요청안 대로 감염관리 간단 매뉴얼, 포스터 등을 제작하고 AGD 교육프로그램에 감염관리교육 부분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이날 위원들은 현행 수가체계 아래서는 치과의사들의 개인적인 노력만으로는 감염관리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따르는 만큼 보험수가에 감염관리 비용이 반영 되도록 하는 등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 돼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이에따라 민· 관· 치과의사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감염관리협의체’를 구성해 제도적인 방안 마련에 힘쓰기로 하고 위원회 구성안을 정부에 제안키로 했다.
한편 이번 MBC 방송 내용은 지난 2006년 치과감염 문제를 다룬 PD 수첩 방송 4년 후인 현재 실태를 점검해 본다는 취지로 방영돼 장갑 착용여부, 1회용 석션팁 및 턱받이 재사용, 핸드피스 소독, 문진 여부 등을 전반적으로 다뤘다.


하지만 표본수가 서울·인천·경기지역 27곳에 그쳤고 감염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안 마련은 없이 ‘치과 때리기’에만 급급했다는 지적이 대부분이다.
또한 2006년 PD 수첩 방송분을 상당부분 재탕해 방영하면서 아직 명확한 사실 규명이 되지 않은 미국 치과에서의 에이즈 감염 사례를 사실인 것처럼 보도하거나 치과치료 후 C형 감염에 걸린 것으로 생각된다는 환자의 자의적인 인터뷰를 여과 없이 보도해 국민들에게 극도의 ‘공포감’을 조성했다는 비판이다.


하지만 이미 지난 2006년 이후 치과 감염관리에 대한 대국민 인식변화로 치과계 감염방지 수준이 높아진 만큼 핸드피스 사재기 등 과거와 같은 파장은 없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강은정 기자 huma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