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 청구, 심평원으로 변경
치협 “의료정책·정보 통계 공유” 주장
요양기관정보화 지원협의회
치협을 비롯한 의약5단체와 심평원으로 구성된 요양기관정보화지원협의회는 지난 2일 강원도 오크밸리에서 회의를 열고 심평원이 개발하고 있는 차세대 전자청구시스템 개발 사항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치협은 이에 대한 치과계의 입장을 적극 전달했다.
심평원은 현재 요양기관이 진료비 청구에 사용하고 있는 EDI서비스 계약만료에 대비해 요양기관이 심평원에 직접 청구할 수 있는 진료비 청구 포탈서비스를 준비 중에 있다.
심평원에 직접 청구를 하게 되면 당장은 요양기관에서 청구에 대한 비용을 부담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에 KT에서 청구 소프트웨어 업체 등에게 지원하던 연 20~30억원의 지원금이 없어져 청구 소프트웨어 업체에서 각 요양기관에게 월 사용료를 인상할 수 있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또 심평원에게 모든 의료정보가 집중돼 의약계의 반감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박영채 정보통신이사는 “심평원이 일방적으로 사업을 진행하지 않도록 치과계의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며 “의약5단체는 심평원에 집중돼 있는 의료정책 통계 및 세부적인 의료정보 통계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 각 의약단체가 회원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말했다.
박 이사는 또 “월 사용료에 대한 무료 지원 뿐만 아니라 청구 프로그램 사용료가 올라가지 않도록 그에 상응하는 정부 지원책을 심평원이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고 전했다.
박 이사는 아울러 “7월 말경 의약5단체가 발주한 ‘진료비 EDI 환경변화에 따른 의약단체의 대응전략’을 주제로 한 연구용역 결과가 나오는 만큼 그 후 심평원과 의약5단체간 논의의 장을 마련해 개선사항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또 요양기관(내) 정보보호 관련 사항과 전자의무기록 전자서명 활성화 방안 검토의 건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안정미 기자 jmah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