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항생제 과다 처방
매출 상위 20곳 전체 처방률의 2배 이상
일부 의료기관에서 돈벌이를 위해 어린이에게 항생제를 과다 처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승용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민주당 의원은 지난 4일 국감을 통해 의원급 의료기관에서 평균적으로 환자에게 10번에 3번 정도 항생제를 처방하고 있는데 반해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항생제 처방률 평균이 56%로써 전체 처방률 보다 26%p나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더욱이 매출 상위 20위 소아청소년과에서는 61.9%로 전체 항생제 처방률의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제주의 모 소아과의원의 경우 항생제 처방률이 94%에 육박하고, 부산의 모 소아과는 92% 가량 소아들에게 항생제를 처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기도 했다. 특히 대전의 모 소아과는 2008년과 2009년 89%나 항생제를 과다 처방하고 2008년 11억원, 2009년 13억원을 청구해 월 평균 1억원씩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승용 의원은 “항생제 투여가 적정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내성을 야기할 수 있어 특히 어린이에게는 더욱 신중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항생제를 많이 쓰는 의원급 의료기관에 대해서 복지부가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주 의원은 “공개항목이 현재는 상기도감염(목이 붓는 것. 감기)에 대한 항생제 처방률만 공개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시범적인 공개에 그칠게 아니라 전체 상병에 대한 항생제 평가 결과가 공개돼야 한다”고 꼬집었다.
신경철 기자 skc0581@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