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사망사고·부작용 급증세
식약청 안전성 관리강화 촉구 한 목소리
매년 의약품 사망사고 환자와 부작용 사례 보고가 늘고 있는 만큼, 식약청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지난 7일 식품의약품 안전청 국정감사를 국회에서 열었다.
이날 국감에서는 의약품 부작용 안전성 문제 등이 집중 부각됐다.
최영희 민주당의원은 “약을 복용한 후 부작용 의심 사망자가 2007년 40명에서 2008년 193명, 2009년 411명으로 3년 동안 10.3배 증가 했고 올해 6월 말 까지 228명이 발생 해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현희 민주당 의원도 “의약품 부작용이 2004년도 512건이었으나 2007년 370건, 2009년에는 2만6827건으로 증가 했다”며 “이는 일반인과 의료인, 그리고 제약사의 부작용보고가 활성화 되면서 더 많은 부작용 접수가 이뤄지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전 의원은 특히 “특정 의약품에서 다수의 사망사례 부작용이 보고된 경우 보다 철저한 의약품 재평가와 검증이 있어야 의약품 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다”며 “식약청은 안전성 서한 배포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 했다.
곽정숙 민주노동당 의원은 “의약품 부작용 보고 건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이에 대한 집계만 하고 있는 수준”이라면서 “의약품 부작용만 전담하는 ‘의약품 부작용 관리센터’를 신설하고 의약품 부작용으로 피해를 입은 피해구제 도입을 위해 약사법 개정안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날 식약청 국감에서는 원료 의약품 품질관리, 식약청의 부적절한 실험장비 관리, 해외 출장문제, 건강기능식품관리, 특정성분 화장품 관리 문제 등 보건의약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이 지적됐다.
박동운 기자 dongwoo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