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치료 해결방안 제시

관리자 기자  2010.10.18 00:00:00

기사프린트

코골이·수면무호흡증 치료 해결방안 제시

대한치과수면연구회 추계 학술집담회 및 워크숍 (31일)

  

대한치과수면연구회(회장 정성창)가 오는 31일 서울대치과병원 지하1층 제1강의실에서 추계학술집담회 및 Sleep 워크숍을 개최한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Oral Appliance의 A to Z’를 주제를 열리는 이번 추계학술집담회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구강내장치의 모든 것에 대한 강의와 실습이 마련돼 최근 관심이 높아진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예정이다.


이날 수면호흡장애의 기전, 수면다원검사 해석,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다양한 구강내장치 등을 소개하는 강연과 실습이 진행된다. 이와함께 수면중 나타나는 이갈이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내용도 포함돼 있다.


치과수면연구회는 “개원가에서 실제 임상에 적용하는 치과수면학에 대한 내용을 강조하기 위해 다양한 연자들을 초청했다”며 “강의 후 구강내 장치제작을 위한 실습이 진행돼 임상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지식습득과 문제 해결방안까지 제시되는 유익한 시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강연에서 채규영 교수(분당차병원 소아청소년과 수면장애클리닉)는 수면장애 진단을 위한 수면다원검사의 중요성과 검사의 해석 및 알아야 할 내용에 대해, 전양현 경희대 치전원 교수(구강내과)가 수면중 나타나는 이갈이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대해 소개한다.


이어 김명립 원장(서울 일리노이치과의원)은 ‘다양한 수면무호흡 치료법들의 한계와 치과의사의 역할’을 주제로 치과의사가 수면무호흡증 치료에서 관여하는 부분과 그 한계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송윤헌 원장(김연중·송윤헌치과의원)은 구강내장치의 종류와 개원가에서 할 수 있는 마케팅에 대한 내용을 가지고 강의를 준비했다.


정진우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구강내과)는 다양한 구강내 코골이장치의 종류에서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치료를 위한 환자 선택, 장착 방법 및 관리, 구강내장치 장착 방법 및 착용 중 있을 수 있는 문제점의 해결할 수 있는 내용으로 강연에 나선다.


이들 5명의 강연이 있은 뒤 구강내 장치제작을 위한 실습이 진행될 예정이다.


정성창 회장은 “치과수면장애에 대한 치과의사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타 영역에서 이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어 이에 대한 치과계 내부의 저변확대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많은 치과의사들이 임상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방법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해 이번 연수회를 준비했다”고 강조했다.
 문의 : 02-2072-3811)

 

 이윤복 기자 bok@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