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마취 건수 급증 기본 통계없이 대책 무방비
의료기관의 마취 건수가 해마다 평균 8% 이상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마취행위로 인한 의료사고 통계, 프리랜서 마취 전문의 현황 등 기본적 실태조사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어 안전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현희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 분석 결과 2006년도 1백40만1379건이던 의료기관 마취 건수가 2007년 1백53만6449건, 2008년 1백62만4509건, 2009년 1백75만7639건 등 평균 8%이상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의료기관 마취 행위가 급증함에도 불구하고 ▲마취로 인한 의료사고 현황 ▲마취 전문의와 비전문의에 의한 마취 현황실태조사 ▲프리랜서 마취 전문의 현황과 마취 건수 등 마취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기본적 실태조사도 마련돼 있지 않다.
특히 마취행위에 대한 일반적 기준만 제시돼 있을 뿐 마취 종류, 방법, 의료기관이 갖춰야 할 응급시설 및 장비, 필수 약제에 대한 기준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현희 의원은 “복지부는 마취 안전성 강화를 위한 기본실태 조사를 시작으로 마취 환경 기준 마련, 담당 마취 의사 환자 고지 방안 검토, 고 위험성 고난이도 마취 행위에 대한 수가 가산 등의 지원책 마련이 검토돼야 한다”고 밝혔다.
박동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