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학제 논란 ‘내홍’

관리자 기자  2010.12.27 00:00:00

기사프린트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학제 논란 ‘내홍’
일부 교수들 현 제도 잔류 지지…재논의 공론화


서울대 치의학대학원(이하 대학원)이 학제 논란으로 내홍을 앓고 있다.
특히 일부 교수들이 제기하고 있는 학제 재논의 주장은 최근 신·구 대학원장 교체시기와 맞물려 학내외에서 일파만파의 파장을 낳고 있다. 
복수의 대학원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대학원에서는 일부 교수들이 현 치의학대학원 제도 잔류 등을 공개적으로 지지, 이 문제에 대한 재논의를 공론화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에는 해당 교수들을 중심으로 이를 촉구하는 연명서가 돌면서 재논의를 위한 압박수위를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는 대학원에서 이미 전체 교수회의를 열어 압도적인 표차로 치대 복귀를 결의했으며, 이 사항이 학내 최고 의결기구인 평의원회의 승인을 얻었다는 점이다. 

  

#“한 발 물러서 재논의 필요”

 

치대 복귀, 즉 예과제로의 전면 환원을 반대하고 있는 교수들의 논리는 이미 결정이 났지만, 당시에는 치대 복귀에 대한 일선 교수들의 고민이 깊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다시 논의해 보자는 것이다. 
일단 완전 복귀는 원칙적으로 옳지 않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교육부에서 지난 2002년 도입 발표 시 명시한 ‘최종결정’은 병행 학제(예과제+전문대학원제) 혹은 완전 전문대학원제 전환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일례로 ‘DDS-PhD 복합과정’ 역시 완전 전문대학원 전환을 전제로 시작됐다는 지적이다.
특히 현재 교육부가 제시한 안이 ‘4+4제’ 보다는 의학계가 스스로 추진했던 ‘2, 3, 4+4제’에 근접된 모델이라는 해석이다. 또 법학, 경영학 전문대학원 등 전문분야의 고학력화 추세에 뒤처질 경우 사회적 불이익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입장을 지지하고 있는 A 교수는 “이미 학제 문제 재논의 자체에 대해서는 합의가 됐다. 이를 미루고 있는 것은 사실상 직무유기”라고 주장하며 “현재로서는 당분간 학제 계획을 교육부에 제출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원론적인 문제제기 외에도 이 같은 인식의 배경에는 정원이라는 예민한 현안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예과로의 전면 복귀 시 절반 수준으로 축소될 것이 유력한 입학정원에 대한 해법이 현재로서는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최악의 경우 정원이 반 토막 나면 교수인원도 지속적인 충원이 어렵고 특히 이에 따라 임상진료 분야의 타격이 크다는 것이다. 또 정부에서 제시할 ‘페널티’와 ‘인센티브’에 대해서도 일부 교수들은 주목하고 있다.

  

#“불쾌하고 실현가능성 없는 주장”

  

하지만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명예교수와 동창회 등 학교 외곽의 시선은 차갑다.
B 명예교수는 “대부분의 명예교수가 이 문제를 인지하고 있지만 다들 매우 불쾌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현재 치전원과 치대, 양 학제의 등록금 편차가 대학에 따라 많게는 2배에 이른다”며 “학사와 석사의 차이가 경제적 논리로 결정된다는 것은 말도 안 되며 특히 기초과목 위축에 대한 우려도 갈수록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학내 일부 중견 교수들의 반응도 비슷하다. 임상전공의 C 교수는 “실제로 재논의를 한다 해도 평의원회에서 최종 결정된 내용을 다시 뒤집는 것은 상식적으로 말이 안 된다”며 “오히려 차제에 정원 문제 등에 대해 교수 사회에서도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논의의 또 다른 축인 동창회 역시 가정을 전제로 두고 논의를 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서울치대 동창회 관계자는 “아직까지 치대 체제 복귀를 결의한 내용이 유효하다”며 “교육부에서 실제로 고등교육법을 개정했을 경우라면 모르겠지만 현 상황에서 이를 가정해 논의하자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밝혔다.
오는 28일은 최순철 교수가 신임 대학원장으로서의 첫 업무를 시작하는 날이다. 최 신임 대학원장이 부각된 학내 갈등을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갈 지 귀추가 주목된다. 

  

윤선영 기자 young@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