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발협 구성부터 재논의 필요”
치협 “치과계 대표 카운터파트로 인정돼야”
보건복지부가 범치과계 단체를 아우르면서 조직하려는 ‘(가칭)치과의료발전협의회(이하 치발협)’의 구성에 대해 치협이 치과계를 대표하는 카운터파트로서 인정해줄 것을 복지부에 적극 건의했다.
복지부는 지난 17일 치협에 공문을 보내 치발협을 구성·운영할 계획을 알리고 3명의 위원을 추천해줄 것을 요구했다.
복지부 측에서는 치협 뿐만 아니라 치과병원협회에도 동일한 3명의 위원 추천을 요구했으며, 치과관련 학회 2인, 치과대학협의회, 전공의협의회, 건강사회를 위한 치과의사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각 1인을 위촉할 계획임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 치협은 협의회를 구성하는 절차에 있어서나 위원 구성에 있어서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고 이에 대한 개선을 적극 요구했다.
치협이 복지부에 요구한 사항은 치협이 치과계를 대표하는 단체인 만큼 치발협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선제적으로 치협과 협의회 구성을 의논할 것과 위원 구성면에서도 치협의 추천인원을 가장 많이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치협을 진정한 카운터파트로 인정해달라는 것이다.
치협은 더 나아가 위원장으로 임종규 건강정책국장과 함께 치협 관계자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공동위원장제를 건의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지난 21일 열린 치협 정기이사회에서는 치발협 위원 추천과 관련 복지부의 치협에 대한 근본적인 협상 시각에 문제가 있음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개선을 건의하기로 의결한 바 있다.
조영식 기획이사는 “치발협이 구성되는 것에 대해 반대하지는 않지만 운영방침이나 위원 구성에 대해서는 재논의가 필요하다”며 “논의과정 자체가 치협을 치과계를 대표하는 카운터파트로 인정하면서 일이 진행돼야 한다. 치협을 다른 치과계 단체들과 동등하게 간주하면서 1/n 형태로 위원 구성을 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주장했다.
이원균 부회장은 “복지부 측에서 치발협을 구성하면서 치과계에서 합의가 어려운 전공의 배정 등도 함께 다룰 것”이라며 “자칫 잘못하다가는 전공의 숫자가 대거 늘어날 위험성도 있다. 치밀한 대책도 함께 세워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안정미 기자 jmahn@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