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대복귀시 정원 90명 확보 ‘난항’
서울대본부·치의학대학원 “현재까지 확정된 바 없어”
2016년 치대 체제 복귀를 선택한 서울대 치의학대학원(대학원장 최순철·이하 대학원)이 이번에는 정원 확보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이미 지난달 20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보고한 바와 같이 과연 90명 정원을 확보할 현실적 방안이 있는가 하는 문제로 논쟁이 가열되고 있는 것이다.
대학원 측은 최근 이 문제와 관련 “최근 교과부에 90명 정원의 치대체제로 보고한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확정된 상황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홍성두 대학원 학생부원장은 지난 7일 전문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신임 집행부에서 노력해서 나머지 45명을 확보, 90명 체제로 가도록 해야 하는 것이 과제인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지난달 20일 교과부에 제출된 정원 운영계획에는 (나머지 45명에 대한) 구체적인 정원확보 방안이 없는 상태”라고 언급했다.
특히 홍 부원장은 “기존 T.O로서는 이를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전제하며 “현재로서 교과부로부터 추가로 45명을 확보하는 것이 최선책이며, 대학본부의 입장도 그렇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달 27일 열린 치과계 전문지 기자간담회에서 정필훈 전 대학원장이 “오연천 서울대 총장과 김홍종 교무처장 등의 적극적인 협조에 힘입어 (치대 복귀 시) 정원 90명의 학부체제로 공문이 정식 발송됐다”며 “이 문제의 경우 추후 평의원회 의결 등을 거쳐야 할 사항은 아니다”라고 밝힌 것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 내용이다.<관련기사 본지 1월 3일자 10면 기사 참조>
이 같은 상황에는 치대 복귀와 관련 각 단과대학 간의 첨예한 역학관계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0월 열린 서울대 평의원회에서는 타 단과대학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치대복귀를 의결했기 때문에 다시 이 시점에서 90명 정원 확보를 거론하는 것이 타 단과대학을 자극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교과부와 단과대학 사이에 놓인 서울대 본부도 곤란한 입장에 직면했다. 정원 90명 확정이 현재로서는 본부 측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니라는 것이다.
급기야 지난 6일 김홍종 서울대 교무처장은 최근 치대 전체 교수에게 이메일을 보내 “치의학대학원의 학제 변경과 관련 현재 치과대학의 입학정원으로 확보된 인원은 45명이며, 미충원 인원은 교과부와 협의를 해야 한다”며 “치대 교수들의 적극적 도움이 있어야 접근이 가능한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주무부처인 교육과학기술부가 이 같은 상황을 사실상 방치해 왔다는 지적도 있다.
평의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한 교수는 “이번 사태는 결국 학제 문제와 관련 충분한 학내 의견 수렴과 토론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아울러 교과부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식적인 채널을 통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는 등의 적극적 노력을 하지 않은 측면이 크다”고 꼬집었다.
윤선영 기자 young@kd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