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조영환 원장의 지상강좌] 임플란트를 위한 이상교합, 그 이론과 임상(26면)

관리자 기자  2011.01.17 00:00:00

기사프린트

구치부 조각이 교합기의 조건 1 하에서 완성되면, 이상적인 전치유도성분을 얻기 위해 교합기를 조건 2에 조정한다. 교합기 상의 붉은 점(Red)(그림 33, 34)은 시상과로각 40도, 시상절치로각 45도, 전치지도판의 lateral wing 20도를 각각 의미한다. 이로써 유효교두형태성분과 이상적인 전치유도의 실현에 의해 적정양의 구치이개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 소개하는 전부 무치악의 증례에서는 견치를 이용한 구치이개보다는 group functioned occlusion으로 측방압을 분산시킴이 이상적이다. 교합기를 조건 2하에서 전치지도판을 20도에서 0도로 조절한 후 견치와 제 1,2 소구치를 이용해  group functioned occlusion을 구현시켰다.


술자는 부분적인 group functioned occlusion을 Mutually protected occlusion의 일환으로 확대 해석함이 합리적이라 생각하고 있다. 환자의 조건에 따라 술자가 구치이개를 적절히 응용하여 궁극적으로 유해측방압을 조절함이 골유착성 임플란트 보철을 위한 이상교합의 실현을 위한 합리적인 사고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 서두에 상술했듯이 신교합이론의 이론적인 근거는 교합이(anterior guidance) 과로를 제어한다는 데에 있다. 여기에 소개하고 있는 증례는 과로측정이 생략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합기 상에서 실현된 교합양상이 구강 내에서 실현됨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음을 또한 알 수 있다(그림 35~41).


이는 과거의 교합에서 행했던 팬토그라프와 완전조절성 교합기를 이용한 보철에서 볼 수 없었던 구치이개의 실현과 수평측방압의 제어라는 궁극적인 이상교합을 실현시키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라는 면에서 새로운 사고를 요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골유착성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악회복술의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서는 첫째, 이상적인 centric의 확립을 통한 하악의 안정화, 둘째, 적절한 수평측방압의 제어를 위한 이상적인 편심위 교합의 확립이 필수적으로 요청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즉시기능 술식의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서 더욱 심각하게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술자는 골유착성 임플란트 보철의 장기적인 예후를 위해서 삼차원적인 이상교합의 실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


조영환 원장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졸. 동 대학에서 석사, 박사학위 취득
·UCLA치대 심미치과센터 Visiting Scholar
·USC(남가주)치대 International Continuing Education division 임상교수 
·Fellow of the American College of Dentists
·SDI Roden Academy 소장
·Roden 치과 대표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