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허영구 원장의 지상강좌] CTi-mem을 이용한 GBR technique

관리자 기자  2011.01.27 00:00:00

기사프린트

허영구 원장의 지상강좌

CTi-mem을 이용한 GBR technique

<1904호에 이어 계속>

  

4. CTi-mem의 구조
1) Fixing hole
Spacer 위에 고정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부분으로 사이즈는 2.5mm이다. 임플란트를 식립하지 않고 골 이식만 시행할 경우에, 앞으로 출시될 텐트 스크류라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2) Lingual finger
협설 측 중 약간의 골 이식이 필요한  곳에 위치를 시키는 부분으로, 주로 설측에 있는 최소한의 defect를 2~3mm 피개하는 기능을 한다. 불필요 시에는 간단히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Proximal finger
임플란트의 근원심부의 augmentation이 필요한 부위를 덮는 부분이다. Proximal의 넓이를 측정하여 불필요 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4) Lateral thickness forming part
측방 결손부위의 측방두께를 형성하는 부위이며 임플란트의 치조정 부위는 적어도 2mm의 골 두께를 유지하는 것이 좋은데 이를 위해서 2.5~3mm 정도의 공간을 부여해 주었다.  CTi-mem도 titanium mesh와 마찬가지로 치조정 부위에는  hole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gingiva와 grafted bone 사이에 blood 및 fluid가 소통이 되어 노출을 최소한 줄이고자 하는 시도이다.


5) Bending portion
이 부분이 crestolateral line angle이 되며 이 부분을 기준하여 곡선으로 bending해서 사용한다. 이 부분은 어떤 타입이건 임플란트로부터 항상 2-3m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이는 임플란트 표면에서 augmentation을 할 수 있는 양을 나타낸다. 이 부분을 기준으로 구부리기 쉽게 형성되어 있는데, 구부릴 땐 bending plier를 사용하거나 손가락을 받쳐서 각지지 않게 곡면으로 약 80도 정도 구부려야 한다. 


6) Lateral cover
이 부분은 이식골의 측면을 피개하는 부분이며 미세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데, 그 이유는 노출에 민감한 부분이 아니며 제거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양 옆의 날개 모양도 삼각형 모양으로 한 이유는 쉽게 구부릴 수 있으면서 치은판막의 형성 없이 쉽게 차폐막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7) Foot
이 차폐막은 머리부분 에서만 고정을 얻기 때문에 아래 부분은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foot 부분을 original bone에 contact시켜주면 membrane이 좀 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foot은 가급적 자가 골면에 접촉되도록 over bending을 해주는 것이 좋다.


5. CTi-mem assemble

   1) CTi  Spacer
CTi-mem의 특징은 임플란트 픽스쳐를 이용하여 차폐막을 바로 고정하는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임플란트에 spacer를 사용해야 한다.  Spacer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 Spacer의 기능:
ㄱ) 임플란트 상부보다 높게 골 형성유도 기능 : CTi Spacer는 CTi-mem과 임플란트 사이에 최소 1mm 정도 거리를 유지하게 하여, 필요한 경우 임플란트 보다 높게 골 형성을 시도할 수 있게 하며 이로 인해 차후 골 흡수가 일어난다 해도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ㄴ) 연조직 두께 보상 : CTi-mem 하방에 항상 형성되는 0.1-0.5mm의 연조직 두께를 보상할 수 있다.
ㄷ) 노출 시에도 안전 : 혹시 차폐막이 노출되어 이식한 양만큼 골이 형성되지 않아도 적어도 임플란트 상부까지는 골 형성이 되도록 하는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 
ㄹ) 임플란트 깊이 보상 : 임플란트가 기존의 치조골 보다 깊게 식립 된 경우 막의 위치를 치조골의 위치만큼 올려주어 막이  spacer에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ㅁ) CTi-mem 고정기능 : CTi-mem을 cover cap 또는 healing abutment 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ㅂ) CTi-mem 제거기능 :  막 제거시에 spacer를 돌려 풀면 CTi-mem이 딸려나오며 연결부가 파열되는 기능을 한다. 

 ※ CTi Spacer의 종류와 치수:


CTi Spacer는 식립된 임플란트의 연결부에 맞도록 고안되어 있으므로 식립된 임플란트에 맞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External type의 spacer에는 Branemark와 3i 회사제품에 호환되는 narrow, regular, wide type이 있으며 internal type의 spacer에는 현재 CMI submerged type(IS type)의 conical부와 호환되는 임플란트에는 사용이 가능하다.  점차로 다른 임플란트에 맞는 spacer도 개발될 예정이다.
CTi Spacer의 직경은 4mm로 일정하며 높이는 1, 1.5, 2mm가 있다.
 
2)  CTi  Cover Cap & Driver
Submerged GBR을 시행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일종의 cover screw이다. Cover cap의 높이는 1.5mm이며  1가지 종류이다.  Cover cap을 체결하는 hexa 구조가 없으며 friction driver인 cover cap driver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3) CTi Healing Abutment
Transmucosal GBR을 위한 CTi healing abutment(HA)는 여러 개의 groove를 갖는 독특한 디자인을 갖고 있는데, 이는 healing abutment와 tissue 사이에 박테리아 또는 이물질이 침투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보다 단단한 soft tissue band를 형성시키기 위함이다.  봉합 시 연조직이 위로 올라오지 않도록 점차로 직경이 커지는  taper 구조를 가지며 높이는 3, 4mm가 있어 연조직의 두께에 따라 선택한다. 4mm 이상의 연조직이면 4mm HA를 연결하고 연조직이 덮이도록 봉합한다. 치유 후 얇은 연조직으로 덮여 있음을 볼 것이며 제거 시 쉽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18면에 계속>


허영구 원장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보스톤대학교 치과대학 보철과 수련
·보스톤대학교 치과대학 보철과 대학원 석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박사
·현)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외래교수
·현) 보스톤대학교 치과대학 외래교수
·현) 글로벌임플란트연구회(GAO) 회장
·현) 대한심미치과학회 부회장
·현) 대한구강악안면임플란트학회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