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M과 함께하는 임상강좌 (1)
박성호 연세치대 교수
복합레진의 중합수축과 base의 사용
한국 3M와 박성호 연세치대 교수가 함께 ‘복합레진의 중합 수축과 Base의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임상 증례를 개원의들에게 제공할 목적으로 이번호부터 수차례에 걸쳐 연재할 예정이다. 편집자 주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이란 복합레진이 중합되기 전보다 중합 후에 약 1~5 % 정도의 부피의 감소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합니다.
복합레진 내의 monomer의 종류, 무기질의 함량 등에 의하여 그 정도가 많이 달라집니다. 또한 중합수축의 양에 있어서 비슷한 정도라고 해도, 그 재료가 갖는 탄성도 등에 의한 영향으로 중합수축의 stress 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그림 1 과 2 는 각각 중합수축의 양과 중합수축의 stress 를 측정한 것입니다. 여기서 Surefil 이라는 재료를 예를 들면, 중합수축의 양은 매우 작지만, 중합수축의 stress 는 매우 높게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Surefil 의 탄성계수가 다른 재료에 비해 높은 편이어서 중합수축의 양은 작지만 중합수축의 stress 는 크게 나타나는 예입니다.
중합수축에 의하여 치아의 와동에서는 어떤 일이 발생할까요. 복합레진의 중합수축 현상 때문에, 와동 내에 접착제 없이 복합레진을 바로 충전한다면 치아와 복합레진 사이에 간극(gap) 이 발생하여 바로 문제가 발생할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하여 우리는 산부식을 하고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입니다.
즉, 접착의 과정을 통하여 치아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에 대해 저항하여,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의 stress는 와동변연 및 내부에 남아 있다는 것입니다. 이 stress 가 치아에서 감당할 정도이면 별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이면 임상적인 문제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다음호에 계속>